종교 聖음악

미사: 모사라베 Misa mozárabe - Chorus of Monks from the Abbey (1969 DG)

리차드 강 2011. 9. 4. 15:52

Misa mozárabe

미사: 모사라베 Misa mozárabe

Anonymous, Gregorian Chant

Misa mozárabe, 전곡 연주

Album Title: The Mystery of Santo Domingo de Silos:
Gregorian Chant From Spain

Composers: Anonymous, Various Artist
Performer: Chorus of Monks from the Abbey
Conductors: Dom Ismael Fernández de la Cuesta
Ensemble: Benedictine Monks of Santo Domingo de Silos
(Coro de Monjes de la Abadía de Santo Domingo de Silos)
(Chorus of Monks of the Abbey of Santo Domingo de Silos)

Manufacturer: Uni/deutsche Grammophon
Original Released LP: 1969
Audio CD (May 10, 1994)
Number of Discs: 1
Mono/Stereo: Stereo
SPAR Code: ADD
Format: Import
Label: Deutsche Grammophon (USA)
Copyright: (c) 1969 Deutsche Grammophon GmbH, Hamburg
Copyright: (C) 1974 Deutsche Grammophon GmbH, Hamburg
Total Recording Length: 50:17
Genres: Classical/General

 

     

Ⅰ. Misa mozárabe  (26:02)
   Composer   Gregorian Chant
   Conductor   Ismael F. de la Cuesta
   Genre   Chant / Medieval Period
   Ensemble   Benedictine Monks of Santo Domingo de Silos
   Period   Medieval
   Language   Latin
   Country   Europe
   Recording   Studio

1. Dominus regnavit, prolegendum  (2:01)
2. Vide, Domine, et considera, Tractus  (0:41)
3. Laudate Dominum, quoniam bonus est psalmus, Lauda  (0:53)
4. Missa (Preces: Ecclesiam sanctam catholicam), prayer  (1:02)
5. Per misericordiam tuam, Deus noster: Nomina offerentium  (3:57)
6. Pacem meam do vobis, antiphon  (2:09)
7. Introibo ad altare Dei mei, Illatio  (5:00)
8. Sanctus XI, in mode 2  (0:45)
    Notes   This sanctus dates from circa 1400.
9. Vere sanctus, vere benedictus, post Sanctus  (1:39)
10. Credo  (3:40)
11. Pater Noster  (1:28)
12. Gustate et videte, Ad confranctionem panis  (1:58)

     

◆《모사라베 성가 Mozarabic Chant》

BC 206년에 로마의 지배가 시작되었고, 2세기경에 기독교가 전래되었다. 게르만족의 이동으로 415년에 비시코트족이 침입하여 3세기 동안 반도를 지배했으나 문화적으로는 오히려 스페인에 동화되어 버렸다. 세비야의 대사제 레안델(549?~600?)과 성 이시드로(560?~636)는 비시고트족이 가져온 동방(비잔틴, 시리아)의 성가를 흡수하고 프랑스의 갈리아(Gallican)의 성가를 합하여 스페인의 독특한 성가를 확립하였다.

이 성가는 8세기 이후 아랍의 지배 하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는데 이를 《모사라베 성가 Mozarabic Chant》라고 한다. ‘거짓’을 의미하는 접두어 ‘Moz’에 ‘Arabic’이 합쳐져서 ‘거짓 아랍’이라는 의미인데 무어인들은 종교적으로 비교적 관대하여 이슬람교도의 지배 하에서도 기독교 전례가 허용되었다.

11세기로 들어서자 아라곤 지방에 로마의 성가가 도입되었으며, 1085년에 로마 교황청에서 전통적인 성가를 금지하고 로마의 성가를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모사라베 성가는 이후 점차 잊혀졌는데, 15세기 말에 똘레도의 대사제 시스네로스(1436~1517)가 옛 스페인 성가의 부흥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승된 네우마(Neuma) 악보에는 선이 그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음악의 복원이 어렵고, 불명확한 구전에 의할 수밖에 없다.

오늘날 똘레도, 살라망까, 바야돌리드의 성당을 중심으로 불려지고 있는 복원된 성가도 지난날의 모습을 정확하게 전하고 있다고 하기는 어렵다. 음악 양식으로서는 매우 긴 멜리스마(Melisma 장식적인 선율)가 특징인데 알렐루야에서는 그 마지막 음절에 200~300개의 장식적인 선율이 붙어 있다. 스페인 음악의 특징 중의 하나인 장식적인 선율이 이 때에 벌써 나타나고 있음이 무척 흥미로운데 이는 아라비아 음악에 나타나는 장식적인 선율이 스페인 음악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글 출처: 인터넷에서...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