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palachian Spring
코플랜드: 에팔라치아의 봄
Aaron Copland (1900 - 1990)
Album Title: Copland: Appalachian Spring
Composer: Aaron Copland (1900 - 1990) Conductor: David Bernard Orchestra: Park Avenue Chamber Symphony Audio CD (May 01, 2011) Number of Discs: 1 Label: Park Avenue Chamber Symphony Copyright: (C) 2011 Park Avenue Chamber Symphony Genres: Classical, Music, Orchestral Style: Orchestral
2. Appalachian Spring, concert suite for full orchestra (25:09) Common Name Appalachian Spring Concert Suite For For Orchestra Composer Aaron Copland (1900 - 1990) Conductor David Bernard Orchestra Park Avenue Chamber Symphony Genre Ballet / Suite Date Written 1945 Period Modern Country United States of America

근현대 음악수호천사 코플랜드의 Appalachian Spring
미국 현대음악이라고 하면 그 1인자로 꼽히는 사람은 '아론 코플랜드(1900~1990)'이다. 푸근하게 생긴 인상 덕분에 대중들이 상당히 친근하게 느낄 법한데, 실제로 '매카시즘 광풍'에 휩싸일 정도로 좌파적 성향의 '인민주의자'였던 작곡가는 전위적인 음악을 시도하지 않은 건 아니지만 대중들과의 친근함을 매우 고민하였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발레 모음곡 <애팔루치아의 봄> 역시 그러한 고민에서 나온 작품이다. 모두 7개의 장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친근한 멜로디 덕분에 처음 듣는 사람이라도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그런 곡이다.
이 곡은 1944년에 '마사 그레이엄'의 초청에 의해 완성되어 같은 해 10월에 미국 국회도서관에서 초연되었고,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원래는 실내악곡 형식이었지만 작곡가에게 퓰리처 상과 비평가협회 상을 안겨줄 정도로 대성공을 거두게 한 작품인지라 작곡가 자신의 애정도 대단하여 관현악으로 다시 편곡하였고 그 편곡된 게 더 자주 연주된다.
아론 코플랜드 (Aaron Copland, 작곡가, 1900-1990)
뉴욕 브루클린 출생으로 20세기 전반 미국 작곡계를 대표했던 인물이다. 러시아계 이민의 다섯 번 째 아들로 태어나 뉴욕에서 골드마크에게 화성학과 작곡법을 배웠고 1918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서 파리로 건너가 나디아 불랑제에게 사사하여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파리 유학 중 작곡한 발레 음악 ‘댄스 심포니’가 새로운 스타일의 탁월한 음악으로 선정되어 5,000달러의 상금을 받게 되고 이를 계기로 전 유럽을 여행하게 된다. 아울러 이무렵부터 재즈에 관한 식견을 넓혀갔다.
그의 초기(1925∼1929) 작품에는 재즈의 어법이 강하게 나타나 있으나 중기(1929∼1935) 이후는 피아노 변주곡 같은 추상적인 어법이 더 강하다. 그리고 1930년대 후반부터는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 멕시코의 인상을 담은 《엘 살롱 메히코》(1937)와 그의 3대 발레곡으로 알려진 《빌리 더 키드 Billy the Kid》(1938) 《로데오 Rodeo》(1942) 《애팔래치아의 봄 Appalachian Spring》(1944) 등을 발표하였는데, 이러한 곡에서는 민요풍의 단순한 멜로디가 현대적인 어법 속에 변용되고 있다. 미국 출신의 작곡자 대부분이 그렇듯이 1940 년 "Our hometown"을 시작하여 많은 헐리우드 영화음악에 손을 대기 시작한다.
관현악곡 《링컨의 초상 Lincoln Portrait》(1942)도 자주 연주되고 있는 곡이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작품에는 쇤베르크의 영향을 받아 12음기법을 채용하는 등 다양한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애팔래치아의 봄》은 1944년도에 퓰리처상을 받았고, 1937∼1944년에는 미국 작곡가연맹의 위원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저서로는 《음악 청취법》(1939)《현대음악 입문》(1941) 등이 있다.
1990년 숨을 거두며 동시대 미국현대 음악의 대부로써의 일생을 마감한다.
글 출처: 곽근수의 음악이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