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제: 아를르의 여인 제 1모음곡 - Marc Minkowski, cond (2008 naïve)
작품구성 및 설명 1. Prelude in C minor, Allegro 전주곡(prelude) : 제 1 막 개막 때 연주된다.. 알레그로 C 단조,4분의 4박자, 먼저 프로방스 지방에서 크리스마스 때 부르는 민요'세 임금님의 행진'의 선율을 힘차게 연주한다. 그리고 4회에 걸쳐 변주된다. 중간부는 안단테로 바뀌며 색스폰이 '백치의 동기'를 노래한다. 이 선율은 극중에 여섯 번 정도 나타난다. 마지막은 후레데리의 '고뇌의 동기'로 끝난다. 프로방스 지방의 민요 '세 임금의 행렬'의 선율에 의한 유명한 행진곡의 테마가 목관과 현의 투티로 힘차게 나타난다. 이 테마가 4회 반복을 한 후 Ab 장조 4/4박자로 옮겨 진다. 주인공 프레디에게는 백치인 동생이 있는데 이 분위기를 섹소폰이 구슬픈 가락으로 분위기를 이끈다. 이어 프레디의 고뇌를 담은 바이올린이 열정적으로 펼쳐지면서 마치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아를을 사랑하는 프레디와 집안의 반대, 그리고 목장지기 미티피오의 등장이 줄거리이다.
2. Minuetto in C minor, Allegro Giocoso - Trios in A Flat Major 메뉴엣(Menuetto) : 무대에서는 제 3 막 앞에 간주곡으로 연주한다. 알레그로,지오코소,C 단조, 4분의 3 박자. 빠른 템포의 메뉴엣이며, 처음 현이 일제히 소박하고 밝은 메뉴엣 주제를 연주 하다가 A 플랫 장조의 트리오로 들어간다. 클라리넷과 색스폰의 선율이 황홀하다. 본래의 희곡에서는 제3막의 개막 전에 연주되는 아름다운 미뉴에트로 집안의 만류를 받아 들여 아를을 단념하는 프레디, 그리고 그를 연모해 오던 소녀 비베트와의 약혼을 축하하는 장면이다. 시골 풍경이 연상되는 이 미뉴에트는 축제를 맞은 시골의 분위기를 소박하게 그려주고 있다.
3. Adagietto in F major, Adagio 아다지에또(Adagietto) : 바르따자르와 루노가 젊은 날의 사랑의 추억을 나눌 때 연주하는 곡이다. 아다지오, F 장조, 4분의 3 박자. 약음기를 단 현의 4 부 합주곡이며 주 선율은 불과 여덟 소절이지만 이는 비제가 만든 선율 중에서도 빼어나게 아름답다. 본래의 희곡 제3막 1장과 2장에 바탕을 둔 곡으로 약음기를 단 현악의 조용한 연주가 애절하기 그지없는 아름다운 곡이다. 프레디와 비베트의 약혼 잔치가 벌어지던 날, 비베트의 어머니 르노는 프레디 집안의 하인 바라타잘과 수십년만에 재회를 하게 되는데 이 두 사람은 사랑을 하면서도 결혼을 하지 못했던 젊은 날을 회상하며 그리움에 눈물이 젖는다. 아름다운 옛 정취가 사랑을 가득 안은 채 가슴으로 밀려 온다.
4. Carillon in E major, Allegretto Moderato - C# Major, Andantino 종(鍾)(Carillon) : 성 에로와 축제일 분위기를 그린 음악이며 제 3 막 제 1 장 개막 직후에 연주한다. 알레그레또 모데라토, E 장조, 4 분의 3 박자 , 교회의 종소리를 모방한 세 개의 음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이 세 개의 음의 되풀이에 인도되어 명랑한 선율이 나타난다. 중간부에 들어가면 안단티노, C 샤프 단조, 8분의 6 박자로 바뀌며 현의 반주를 타고 두 개의 풀룻이 매혹적이며 우아한 선율을 연주한다. 이것도 유명한 선율이다. 축제의 무드는 무르익고 이를 축복하듯이 멀리서 교회의 종소리가 들려 온다. 2부는 c#단조 6/8박자로 플루트는 아름다운 선율을 느리게 연주하며 처음의 악상으로 돌아간다. 본래의 희곡에서는 축제를 준비하는 시중꾼들과 비베트의 어머니 르노의 등장 장면에서 제3막을 알리는 음악의 일부이다.
비제 아를르의 여인 이하 출처 : 네이버 오늘의 클래식
프로방스! 프랑스의 남동부 일대, 즉 론 강 하류에서 알프스 산맥에 이르는 지방을 일컫는 명칭이다. 그러나 느낌표를 사용한 데서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내가 이 지명에 대해 갖고 있는 감정은 그러한 사전상의 정의를 넘어선 것이다. 이 지명을 떠올리는 순간, 나는 언제나 그곳에 가고 싶은 충동에 휩싸이곤 한다. 이 충동은 너무나 강렬한 것이어서 거의 고통스럽기까지 하지만, 한편으론 무척 감미로운 것이기도 하다. 아마도 그곳에 대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이미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열망이 이런 충동을 낳은 것이리라. 영화 [마르셀의 여름]에는 프로방스의 풍경이 아름답게 등장한다. 꼬마 마르셀이 여름을 보내기 위해 찾아갔던 프로방스…. 문학 작품을 통해 막연하게 알고 있던 그 지방의 풍광은, 비록 좁은 화면 속에서였지만 나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울창한 수목과 황량한 돌산이 어우러진, 그 곳에 내리쬐는 햇볕만큼이나 강렬한 생명력을 느끼게 하는 풍경…. 그 풍경은 영화 줄거리 자체보다도 더 인상적이었다. 그러한 자연 속에 나고 자란 이들은 아마도 소박하면서도 정열적인 사람들이리라. 알퐁스 도데의 희곡 [아를의 여인](‘아를르의 여인’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잘못된 명칭이다)에 나오는 여인이 그랬듯이 말이다.
남프랑스 아를의 추수 장면을 그린 반 고흐의 [추수]
알퐁스 도데의 희곡을 구원한 비제의 음악 도데의 작품 가운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것은 [마지막 수업]과 [별]일 것이다. 그러나 그의 다른 작품들까지 기억하는 이가 얼마나 될까. [아를의 여인]만 해도 비제가 음악을 붙임으로써 구원해 주지 않았더라면 지금보다 훨씬 덜 알려졌을 것이다. 음악 얘기를 하기 전에, 도데의 원작이 우리나라에 그리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만큼 이에 대해 대강 설명하는 편이 나을 듯하다. 3막 5장으로 되어 있으며(5막으로 보기도 한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아를 인근의 남프랑스 농가에 사는 청년 프레데리는 아를의 투우장에서 한 여인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보수적인 집안 어른들은 여인의 과거가 불순하다는 이유로 둘의 결합에 반대한다. 고민에 빠진 프레데리는 결국 어린 시절부터 친하게 지냈던 비베트와 약혼한다. 결혼식 전날 밤에 프레데리의 집 뜰에서 축하 잔치가 벌어지는데, 여기서 잔치에 초대받아 온 아를의 여인이 춤추는 장면(실제 희곡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을 목격한 프레데리는 결국 일깨워진 고뇌에 괴로워하다 2층 창문에서 투신자살하고 만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책으로 읽을 수도 있다. 다만 희곡 버전은 국내에 번역된 것이 없고, 같은 제목의 단편으로만 구할 수 있다. 도데가 희곡으로 개작하기 몇 년 전에 쓴 단편에는 주인공 이름이 프레데리가 아니라 장으로 되어 있는 등 몇 가지 사소한 차이가 있기는 하나 내용은 동일하다. 두 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된 비제의 성공적 작품 도데의 희곡은 발표된 바로 그 해인 1872년에 비제의 부수음악을 곁들여 상연되었다. 비제가 당시 창작력의 절정기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희곡과 음악의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많은 곳에서 상반되게 기술하고 있으나, 엄밀히 말하자면 둘 다 그리 성공하지 못했다. 연극은 21회에 걸쳐 공연된 뒤 그대로 묻혀 버렸고, 비제의 음악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아기자기하다’는 등 평가가 좋지 그리 않았다. 오늘날에는 바로 그 점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러나 자신의 작품이 지닌 진가를 알고 있었던 비제는 곧장 27곡에 달하는 원곡에서 일부를 추려내 편집하고 합창과 소규모의 극장 오케스트라용이었던 원래의 편성을 대규모의 정규 관현악용으로 고쳐 네 곡으로 이루어진 모음곡으로 개작했다. 이렇게 탄생한 [아를의 여인 모음곡](현재는 1모음곡이라고 한다)은 처음부터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비제 사후 4년 뒤에는 작곡가의 친구이자 파리 음악원 교수인 에르네스트 귀로(그는 비제의 [카르멘]에 레치타티보를 붙이고 오펜바흐의 유작 [호프만의 이야기]를 보필해 완성하기도 했다)가 다시 [2모음곡]을 만들어냈으며, 이 모음곡 역시 오늘날에는 1모음곡과 대등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원곡이 27곡이라고 하지만 악상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 모두 소개할 필요는 없을 듯하며, 모음곡 버전을 기준으로 각 곡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모음곡 1. 전주곡 2. 미뉴에트 3. 아다지에토 4. 칼리용(종)
화가 반 고흐가 그린 [아를의 여인]
제 2 모음곡 1. 목가 2. 간주곡 3. 미뉴에트 4. 파랑돌 (Farandole)
프로방스의 밝은 햇살과 아름다운 들판
개인적으로 프로방스에서 태어나 평생토록 문학 활동을 통해 고향에 대한 애정을 표현한 도데의 글보다도 파리 태생인 비제의 음악이 더 많은 ‘프로방스’를 느끼게 한다. 어차피 책이나 음악이나 간접 경험이고, 이로써 획득되는 이미지야 어차피 가상일진대 굳이 우열을 논할 필요는 없지 않겠는가. 이제 그곳에는 도데의 [별]에 등장했던 것과 같은 순진한 목동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비제의 [아를의 여인]에 나왔던, 이 잊을 수 없는 여인은 거기에 여전히 있으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