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nd Bassoon Concerto in F Major | |
훔멜: 바순 대협주곡 바장조 Johann Nepomuk Hummel (1778 - 1837 Austrian) I. Allegro moderato 전악장 연주 (21:16) |
| |

|
Kim Walker, bassoon
Album Title: Hummel: Bassoon Concertos Composer: Johann Nepomuk Hummel (1778 - 1837 Hungary in Austrian) Conductor: Jane Glover Performer: Kim Walker (Bassoon) Ensemble: London Mozart Players Audio CD (Jan 1, 1989) Number of Discs: 1 Format: Audio CD Recorded in: Stereo Spars Code: DDD Label: VDE-GALLO Copyright: (C) ℗ 1989 VDE-GALLO Total Length: 1:06:42 Genres: Classical Style: classical, Concerto
Bassoon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특별한 악기연주곡을 소개한다. 바로 바순(Bassoon)이라는 목관악기(木管樂器, Woodwind Instruments) 연주곡이다. 바순(Bassoon)이라는 이름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파곳(fagott)으로 기억하고 있다. 파곳(fagott)을 영어로 부르는 이름이 바순(Bassoon)이라고 한다. 파곳(fagott)은 독일식 명칭이고, 이탈리아에서는 파고토(Fagotto)라고 부르는데, 이탈리아어 il fagotto(묶음)와 라틴어 fagus(밤나무)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하니 악기 모양이 막대기 다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바순이 악기는 목관악기 가운데서도 가장 음역이 낮은 악기로 U자형의 목관에 가는 금속관을 꽂은 형태를 가지며 길이가 1.4m 정도이다. 높은 음역의 음은 연주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고도의 연주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개는 독주 악기로 잘 쓰이지 않지만, 쉽게 다른 악기의 음색과 어울릴 수 있어 관현악 · 취주악 · 실내악 등 주로 합주에 쓰이고 있다. 바순(Bassoon)은 외형적으로나 그 소리가 다분히 회화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익살스러운 소리를 낼 수도 있는 반면 다른 악기의 음색과도 잘 어울리며 그 음색도 어둡거나 또는 투명하기도 하고 때로는 감상적이기도 해서 어떠한 유형의 음악도 효과적으로 연주 할 수 있기에 "오케스트라의 광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치 좁은 통 속에 오래 갇혀있던 소리가 작은 출구를 통해 세상에 나오는 듯 음색이 아주 독특하면서 일반적으로 볼 때는 조용한 느낌의 악기이다. 취구관 선단의 두 장의 리드에서부터 시작하여 전체길이가 2.6m나 되는 목관을 울리며 번져 나오는 바순(Bassoon) 만의 특별한 음색과 매력을 오늘 이 음악에서 찾아 보기 바란다. 여러분께서 지금 감상하시는 음악은 훔멜(Hummel 1778~1837)이 작곡한 "바순 대협주곡 F장조(Grand Bassoon Concerto in F Major)" 이다.

Grand Concerto for Bassoon in F major, WoO 23, S. 63 (26:11) Composer Johann Nepomuk Hummel (1778 - 1837 Hungary in Austrian) Conductor Jane Glover Performer Kim Walker (Bassoon) Ensemble London Mozart Players Period Romantic Date Written circa 1805; Austria
I. Allegro moderato II. Romanza, Andantino e cantabile III. Rondo, vivace |
11:49 06:39 07:41 |
독특한 음색을 가진 이 바순(bassoon) 협주곡은 제인 글로버(Jane Glover)가 지휘하는 런던 모차르트 플레이어스(The London Mozart Players)와 여류 바수니스트(bassoonist) 킴 워커((Kim Walker)의 연주이다. II. Romanza, andantino e cantabile / Kim Walker (Bassoon) 킴 워커((Kim Walker)는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아서 그녀에 관한 자료를 찾느라 어설픈 실력으로 해외 사이트들까지 뒤지는 애를 먹었다. 영국 태생의 미국인(British/American)인 그녀는 현재 세계적 관악기 연주자(Woodwind Performers) 중 첫 손가락에 꼽힐 정도로 대단한 연주가이다. 전세계를 누비며 연주하는 최고의 솔리스트(soloist)로, 챔버 뮤지션(Chamber Musician)으로, 또한 훌륭한 바순 교육자(Teacher)로, 각광 받는 레코딩 아티스트(Recording Artist) 등, 그녀는 목관 악기 독주자(Solo Wind Players)로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다. 훔멜의 "바순 대협주곡 바장조 (Grand Concerto for Bassoon in F major, WoO 23, S. 63)", 이 연주곡에는 상당 부분 킴 워커((Kim Walker)의 카덴짜(candenza, 즉흥연주)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악보를 들고 원곡을 보지 못한 이상 어느 부분이 카덴짜(candenza)인지 알 수는 없지만 바순(bassoon) 연주에 관한 한 그녀의 실력이 대단함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경우 최대 호기량(폐활량)이 약 4,500 cm3 정도인 반면 여성의 경우 3,000 cm3 정도라고 하니, 호흡으로 연주해야하는 저음역 대형 관악기가 결코 쉬울 리 없었겠지만 폐활량 적은 여성으로써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힘든 관악기를 연주하면서도 세계 최고의 연주자로 우뚝 설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보더라도 그녀의 천부적인 자질과 함께 끊임없는 자기 개발을 위한 노력의 결과일 것이다.
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 The reputation of Hummel has been clouded by time. Born in Pressburg (the modern Bratislava) in 1778, he was a pupil of Mozart and enjoyed a successful career as a pianist and composer. He was employed by the Esterházy family at Eisenstadt as Konzertmeister, while Haydn, now in retirement in Vienna, continued as nominal Kapellmeister. He later served as Kapellmeister at Stuttgart and from 1818 at Weimar. Orchestral Music Recent recordings and performances have revived some interest in two of Hummel's half dozen or so piano concertos, Op. 85 and Op. 89. His Trumpet Concerto is a useful part of current repertoire. Chamber Music Hummel's Op. 87 Piano Quintet has particular interest in that it is scored for the same instruments as the famous Trout Quintet of Schubert, with which it is sometimes coupled in recording. Both quintets are scored for piano, violin, viola, cello and double ba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