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聖음악

앨범: 모짜르트: 레퀴엠 라단조 K 626 - Jean-Claude Malgoire, cond (2005 K617 RECORDS FRANCE)

리차드 강 2011. 3. 3. 17:54

Requiem for soloists, chorus, & orchestra, K. 626

앨범: 모짜르트: 레퀴엠 라단조 K 626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1. Requiem Aeternam - et Kyrie

 

Album Title: Mozart: Requiem K. 626 in D minor

(1791 Vienne - Rio de Janeiro 1821)

Orchestra: Grande Écurie et Chambre du Roy
Conducted by Jean-Claude Malgoire
Performed by • Alain Buet (Bass Baritone)
                     • Gemma Coma-Alabert (Mezzo Soprano)
                     • Simon Edwards (Tenor)
                     • Hjördis Thébault (Soprano)
                     • Philippe Couvert (Violon)
                     • Joachim Fontaine (Soprano)
                     • Kantorei Saarlouis

Recording : DDD
Original Release: 2005
Label: K617 RECORDS FRANCE
Copyright: 2005 K617 France

     

     

Requiem for soloists, chorus, & orchestra, K. 626 (51:56)

1. Requiem Aeternam
2. Dies Irae
3. Tuba Mirum
4. Liber Scriptus
5. Quid Sum Miser
6. Rex Tremendae
7. Recordare
8. Ingemisco Tamquam
9. Confutatis
10. Lacrymosa
11. Domine Jesu
12. Sanctus
13. Agnus Dei
14. Lux Aeterna
15. Libera Me

6:26
1:54
1:08
0:44
1:14
1:46
2:52
2:33
2:25
2:29
6:34
5:50
3:11
4:36
8:15

     

     

Requiem in D minor, K 626 음반 소개

 | 보컬 Hjordis Thebault , Gemma Coma-Alabert 외 | 지휘자 Jean-Claude Malgoire | 오케스트라 La Grande Ecurie Et La Chambre Du Roy | 제작사 Harmonia Mundi | 레이블 K617

녹음방식 : DDD
작곡가 : Wolfgang Amadeus Mozart
지휘자 : Jean-Claude Malgoire
앙상블/관현악 : La Grande Ecurie et la Chambre du Roy
합창단/성악가 : Alain Buet / Gemma Coma-Alabert / Simon Edwards / Hjordis Thebault

세계 최초 레코딩, 1791 비엔나 ~ 리오 데 자네이로 1821.

(1791 Vienna - Rio de Janeiro 1821)

라틴 아메리카 유산을 통해 전문적 연구를 하는 곳으로 잘 알려진 자르부르의 ‘The Centre International des Chemins du Baroques’ 가 브라질, 리오데 자네이로의 옛성당에서 보관중인 기록 공문서를 통해 모차르트 ‘레퀴엠’ 의 최종 확정판 악보를 발견하였다. 이것은 진정한 모차르트의 원본 악보이며 상상할 수 있는 한 1791년대에 가장 가까운 연주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도 많은 논란이 되며 음악인들 사이에서 회자 되고 있는 모차르트의 레퀴엠이 이 음반으로 정리될 것이다.

장엄한 악보와 광범위한 스케치 그리고 ‘사이몬 에드워드’의 테너 음성은 너무나 강렬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평론가들로부터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