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가
다시 부르는 노래 (광복60년 기념음반)
[omnibus] Various Artists
1. 한반도가 (장사익, 슬기둥) - Track 전곡연주
아티스트: Various Artists 음반 이름: 다시 부르는 노래 음반 구분: 정규, 옴니버스, studio 발매 일자: 2005-08-00 / 대한민국 Album Releases: 2005.08 국가보훈처, EGG MUSIC
Credits
[국군 군악대 버젼] 제작기획 : 육군본부 군악실 Produced by : 군악실장 중령 정병우 Recorded, Mixed and Mastered at 서울 스튜디오 All songs performed by MND Band 국악대대 Song by 국방부 중창단 (지휘:소령 나은석)
[음반기획] Executive Producer : 박경훈 (Egg Music) Producer : 서동성 Co-Producer : 박경돈 Directors : 서동성, 박경돈, 박용준, 이용범, 이주원, WowLil, 김선일, 안치환과 자유 Arrangement : 박용준, 이명주, 이용범, 김의석, 고동훈, WowLil, 김선일, 안치환과 자유 Mixing Engineer : 하경, 정진, 김승호, 엄현우, 임계환 Recording Engineer : 원지환, 허찬구, 김용균, 이성렬, 김대영, 양창원, 문수정, 박윤정 Mixing Assistant : 양창원, 윤은재 Drums : 강수호, 신석철 Bass : 신현권, 김정렬 Guitar : 함춘호, 홍준호 Strings : Thr Strings, K-Strings Saxophone : 조재신 Trumpet : 배선용 Trombone : 이한진 국악 : 슬기둥 String Arrangement : 김의석, 박용준, 이용범 Recording Studio : 장충 Studio, Core Studio, Seoul Studio, Meca Studio, 예전 Studio, Studio 참꽃 Mixing Studio : 장충 Studio, Core Studio, Seoul Studio, Studio 참꽃 Mastering Studio : Wave Station Mastering Engineer : 정도원 Design : Annd 자문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학과 교수 민경찬
1. 한반도가 2. 독립군가 3. 영웅추도 4. 애국가 5. 앞으로 행진곡 6. 압록강 행진곡 7. 자주독립가 8. 거국행 9. 국기가 10. 기전사가 11. 대한제국 애국가 12. 장검가 13. 선봉대가 |
장사익, 슬기둥 크라잉 넛 (작사:미상 작곡:외국곡) BMK 김장훈 No Brain 서문탁 럼블피쉬 조관우 안치환과 자유 HaHa N WoW 애국가 정세훈 The Mu:N 바스코 |
4:45 4:03 4:25 4:13 3:21 3:07 3:01 3:45 4:03 3:16 4:04 5:10 3:47 |
광복60년을 맞이하여 대한민국의 새로운 출발을 다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독립군가 등, 독립운동 노래를 신세대 취향에 맞게 편곡하여 대중가수들이 노래를 부름으로써 청소년 등, 국민에게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알리고자 2005년에 제작하였습니다.
1. 한반도가 - 장사익, 슬기둥
안창호 선생이 1907년 작사한 곡으로 한반도의 수려함과 한반도에 대한 사랑을 노래
2. 독립군가 - 크라잉넛
1910년대 독립군의 대표적 노래로서 헨리워크가 작곡한 <우리들의 싸울 것은>의 선율을 차용하여 필승의 신념을 다짐한 노래
3. 영웅추도 - BMK
하이든 작곡, 독립운동을 하시다 돌아가신 영웅열사 추도 노래
4. 애국가 - 김장훈
<올드 랭 사인>의 선율을 차용해 만든 애국가로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전까지 국가로 불리워진 ‘민족의 애국가’
5. 앞으로 행진곡 - 노브레인
1940년대 광복군의 대표적 노래로서, 조국의 광복이 있을 때까지 우리 민족 모두가 앞으로 나아가자는 내용
6. 압록강 행진곡 - 서문탁
빼앗긴 조국을 되찾고 도탄에 빠진 동포를 구하자는 내용의 노래로, 독립군과 광복군의 기상 반영
7. 자주독립가 - 럼블피쉬
일명 <이필균의 애국가>라고도 하며, 1896년 5월 9일「 독립신문」을 통해 발표, 자주, 독립, 애국을 계몽적 차원에서 노래
8. 거국행 - 조관우
일명 거국가, 도산 안창호선생이 해외로 망명할 때 남긴 시에 곡을 붙인 것으로 정든 조국을 떠나야만 하는 마음을 담은 노래
9. 국기가 - 안치환과자유
태극기 찬양 노래로 1910년대에 가장 많이 애창된 독립군가
10. 기전사가 - 하하외 (HaHa N WoW)
이범석 작사 작곡으로 알려진 독립군가로서, 청산리 전쟁을 앞두고 결사적 투쟁을 다짐하며 부른 노래
11. 대한제국애국가 - 장세훈
1902년 8월15일 대한제국 정부에 의해 공식 국가로 제정 및 공포되었으며, 자주독립국가가 되기를 염원한 내용
12. 장검가 - 더문 The Mu:N
독립군의 용맹성과 위엄을 노래한 것으로 민족학교, 사립학교 등으로 퍼져 나가면서 널리 애창됨
13. 선봉대가 - 바스코
1938년 작곡자 이두산이 임시정부를 따라 중경으로 이동 중 만든 광복군의 대표적 노래로서 선봉에 서서 원수를 물리치자는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