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가요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꺼야 - 산울림│싱글/EP (1986)

리차드 강 2011. 10. 17. 22:56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꺼야 - 산울림

싱글/EP 귀여운 소녀의 디스코 (1986)

산울림 1기 Sanullim (1977-)

No.1 -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꺼야

 

산울림 싱글/EP ..... 귀여운 소녀의 디스코
아티스트 : 산울림 1기 : 1977년
아티스트 라인업 : 김창완 - 보컬, 기타 / 김창훈 - 보컬, 베이스 기타 / 김창익 - 드럼
음반 이름 : 귀여운 소녀의 디스코
음반 구분 : 싱글/EP, single, studio
발매 일자 : 1986-08-02 / 한국 (Rep. of Korea)

Side A
1.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꺼야 (작사:김창완 작곡:김창완)
2. 가지마 (작사:김창완 작곡:김창완)
Side B
1. 귀여운 소녀 (작사:김창완 작곡:김창완)
2. 옷젖는건 괜찮아 (작사:김창훈 작곡:김창훈)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꺼야

내가 고백을 하면 아마 놀랄꺼야 깜짝 놀랄꺼야
내가 고백을 하면 눈이 커질꺼야 동그래질꺼야
사랑이란 이런걸까
이런 마음일까 믿어야 될까
내 마음을 누가 눈치채지 않을까

헤어지자고 하면 아마 논랄꺼야 깜짝 놀랄꺼야
헤어지자고 하면 울어버릴꺼야 슬피 울꺼야
이별이란 이런걸까
이런 마음일까 알수가 없네
내 마음을 누구에게 전해야 하나

산울림 Sanullim

김창완이 친동생 김창훈, 김창익과 함께 만든 그룹 '산울림'은 실제로 직업적인 락그룹이 되기 위해 앨범을 만든 건 아니다. 1972년 경에 그가 집에 500원짜리 기타를 들고와서 형제끼리 노래를 부른 것이 음악의 시작이었다. 얼마 후 김창훈이 기타를 하나 더 장만하자, 할 것이 없는 막내 김창익은 전화번호부와 노트 등을 방바닥에 놓고 드럼 흉내를 내면서 그들의 음악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1977 대학을 졸업(서울대 농대 잠사학과)하면서, 그동안 작곡을 하였던 약 150 여곡들이 아까워서 마지막으로 정리하는 기분으로 그들은 한 장의 앨범을 내기로 하였다. 우여곡절 끝에 레코드 회사에서 녹음을 허락했고, 녹음날 취직시험이 있던 그는 과감히 녹음을 하기로 결정하고 녹음한 것이 바로 '산울림'의 탄생이었다. rock이 그다지 대중화되지 못한 70년경에 '산울림'의 "아니벌써"는 신선한 충격과 함께 국내 가요계를 흔들어 놓았고, rock의 대중화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1집의 '산울림'은 다시 한번 앨범을 낼 기회를 갖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2집 "내마음의 주단을 깔고"이고, 이 앨범은 '산울림'을 국내가요계의 앞서가는 그룹으로 완전히 자리 굳히게 한다.

1979년 창훈과 창익의 군입대로 인한 공백기를 거쳐 1981년 7집으로 활동을 재개했다. 이 무렵에는 "산할아버지" "개구쟁이"등 어린이를 위한 세장의 앨범을 발표하고, 이 노래들은 지금도 각종 모임과 운동경기에서 단골로 불려지는 국민가요가 되었다.

1983년 산울림은 9집을 끝으로 해체했다. 두 동생은 사회인이 되었고 맏이인 그만이 산울림의 이름으로 3장의 음반을 내는 등 음악인의 길을 걸었다. 80년대 중반 이후로는 신인들을 모아 '꾸러기들'을 결성하여 최성수, 임지훈, 윤설하, 현희, 신정숙 등을 길러냈다. "꼬마야" "고등어" 등 히트곡도 냈다. 그의 음악은 20년이 흐른 지금도 산울림의 연장선상이다.

'산울림'의 78년 서울 문화체육관에서 열렸던 첫 공연은 새벽부터 장사진을 치는 소동을 벌였고, 관객들이 던진 꽃으로 무대가 뒤덮이는 소동을 벌이는 등 많이 화제를 낳았다. 자유분방하고, 실험적인 음악정신에 젊은이들의 열광이 따랐다. 77년생 아이는 '산울림동이'로 불렸을 정도이니 인기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83년 활동을 중단한 이후 14년만에 본격 활동을 선언하고 나섰다. 삼형제 록그룹 '산울림'의 복귀는 신선함과 충격 이상이다. 산울림은 90년대의 록 평론가들에 의해 신중현과 들국화와 더불어 한국록 역사의 가장 우뚝한 봉우리로 평가 받고 있다.

한국 대중음악 사상 '가장 문제적 데뷔 앨범'으로 평가받는 산울림 1집이래 '산울림'이란 이름으로 작년까지 13집이 출반 되었다. 네 개의 동요앨범, 두개의 독집도 그의 앨범목록에 올라 있으며 그의 음악은 어떤 장르에 있더라도, 상투적인 문법을 거부하는 창의성으로 빛난다.

'산울림' 음악의 전반적인 관심은 '인생'이다. 삶과 죽음에 관한 이야기가 2집부터 지금까지 계속돼 왔다. 좀더 깊은 주제에 관해 젊은이들이 관심을 보이게 되면서 산울림 음악을 좋아아하게 되었다. 우리말 자체를 존중하고 사랑해서, 노랫말도 참신함을 지니려고 노력했다. 구어체 문장을 그대로 가사로 사용해 위트와 파라독스가 생동감 있게 표현된 노랫말은 우리 가요계의 발전에 커다란 시금석이 되었던 사건이다. 특히 산울림의 앨범 자켓은, 자켓의 1/4이 조금 넘는 크레용으로 그린 그림이 왼쪽 중간에 있고, 그 오른쪽에는 '산울림'이라는 특이한 글씨체로 그들의 그룹명을 적어 놓았는데, 12장의 정규앨범들이 나오면서 크레용으로 그린 그림만 바뀌었을 뿐이다. 당시 가수의 사진을 앨범 자켓에 싣는 것이 대부분인 것을 생각하면, 앨범 자켓에서도 그들은 앞서 가고 있었다.....

     

산울림 제11집 (1986, DAS)

프로듀서로서의 직무, TV 베스트셀러 극장의 음악 작업으로 3년만에야 선보이는 산울림의 이름. 이 앨범은 앞뒷면의 명암이 대조를 보이고 있어 흥미로운데, A면은 5집에 이어 극한적으로 내성에 파고 드는 12집 사이의 간이역이며 뒷면은 4장에 걸친 동요작업의 1차 완결판이다. "슬픈 장난감"은 비애의 정서가 세련되게 마무리된 수작이며 나중에 디스코 버전으로 나오기도 한 "내가 고백을 하면 깜짝 놀랄거야."는 어린이를 위한 댄스뮤직이다.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