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발디 글로리아 해설 비발디(Antonio Vivaldi : 1678∼1741)는 이태리 베네치아의 바이올린 주자로서 바로크 음악에 특히 바흐와 헨델에게 많은 영향을 준 작곡가이다. 그의 외모 때문에 '빨간 머리의 사제'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23세에 신부가 되었다. 하지만 성직자로서의 생활은 건강상의 이유로 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고아원인 피에타 구빈원 음악학교에서 종교음악을 가르치는 한편 여기에서 그는 많은 작품(종교곡, 기악곡, 오페라 작곡)을 썼고 연주활동을 했다. 그는 후에 산탄첼로 극장의 음악감독겸 경영자가 되기도 한다. 이 곡은 이태리 작곡가 알프레도 카젤라(Alfredo Casella, 1883∼1947)가 트리노 국립 박물관 소장의 비발디 작품의 필사보를 조사하던 중 발견되었다. 그의 스켓치로 남아있던 몇 개 부분을 보완하여 1939년 9월 20일 시에나(Siena)에서 비발디 페스티발에 그가 직접 지휘하였다. 힘찬 합창과 서정적인 아리아, 대위법적 양식(Polyphonic style)과 화성적 양식(Homophonic style)이 사용되고 있는 이 곡은, 극적인 것과 전원적인 색채가 잘 대비된 것으로 그의 풍부한 음악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초 연: 1939년 9월 20일 시에나(Siena)
Antonio Vivaldi Gloria(대영광송) 1. 높은 곳에 영광 (합창) 영광을 돌리세.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세. 영광을 하느님께 돌릴지어다. 영광을 주께 돌릴지어다. 지극히 높은 곳에 영광. 주께 영광. 지극히 높은 곳에 영광.
2. 땅에는 평화 (합창) 땅에는 사람에게 평화. 선한 사람에게 평화. 땅에는 평화. 선한 사람들에게 평화. 땅에는 사람에게 평화. 모든 사람에게 평화.
3. 주 찬양드리세 (소프라노 이중창) 주 하느님 찬양하세. 주께 감사하세. 주를 경배하고 영광을 돌리세. 찬양하고 감사를 드리고 경배드리세. 영광을 돌리세. 우리 하느님 경배드리세. 영광을 돌리세. 찬양하고 감사를 드리세. 경배드리세. 영광을 돌리세.
4. 주께 감사합니다 (합창) 주 크신 영광 인하여 주님께 감사합니다.
5. 당신의 영광을 인하여 (합창) 당신의 영광 인하여 감사 드리나이다. 주여 감사 드리나이다. 오 주여.
6. 주 하느님 (소프라노 독창) 오 우리 주님 하늘의 왕. 우리 아버지 그의 위엄 크시도다. 오 우리 주님 하늘의 왕. 우리 아버지 그의 위엄 크고 높으시다. 오 우리 주님. 오 우리 아버지 하늘의 왕. 위에계신 우리주님. 전능하신 아버지.
7. 하느님의 독생자 (합창) 하느님의 귀한 아들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귀한 아들 독생자. 하느님 아들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 귀한 아들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8. 하느님 아들 어리신 양 (알토 독창과 합창) 오 나의 구주 어리신 양. 하느님 아들 오 나의 구주. 어리신 양 하느님 아들. 우리죄 지시는. 오 우리 구주 하늘의 왕. 우리 죄 지시는 어리신 양 하느님 아들. 세상 죄 모두 지셨네. 주여 자비 베푸소서. 자비 베푸소서. 불쌍하게 여기시사 자비 베푸소서.
9. 세상죄 지고 가시는 (합창) 세상죄 지고 가시는 구주여 들어 주소서. 우리의 간절한 기도 들으소서. 우리 기도 들으소서.
10. 하느님 우편에 계신 주여 (알토 독창) 하느님 우편에 계신 주여. 자비 베푸사 주의 자비로 우리 구하소서. 하느님 우편에 계신 주. 자비 베푸소서. 불쌍히 여기사 자비 베푸소서. 우리 죄를 속하소서. 자비 베푸소서.
11. 주님 홀로 거룩하시도다 (합창) 주님 홀로 거룩하다. 주는 오직 한분. 주만 홀로 높도다. 예수 그리스도.
12. 주의 성령 (합창) 주님의 성령과 아버지의 영광 중에 있으리라 아멘. 주님의 성령과 늘 함께 있으리 아멘. 주님의 성령과 아버지의 영광 중에 있으리라 아멘. RV 589 in minor Gloria 이 곡은 전례문에 의한 missa 중 2번째 글로리아 부분만을 독립적으로 작곡 하였으나 후반부에 Agnusdei(하나님의 어린양)과 Sanctus(거룩하시다)가 포함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곡의 특성으로 보아 직접 교회 예배에 사용 할 목적 으로 작곡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 곡은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프레도 카젤라(Alfredo Caselia 1883 ~ 1947) 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카젤라는 이전에 지아코모 뒤라쪼백작(1717 ~ 1794)이 하여 현재는 이탈리아 토리노 국립박물관 소장의 대량의 vivaldi 작품의 필 사보를 조사하던중 우연히 이 곡이 발견 되었습니다. 카젤라는 스케치째로 남아있던 몇개부분을 보필하여 1939년 9월 시에나에서 행해진 vivaldi 페스티발에서 자신의 지휘아래 이 곡을 연주한 바 있습니다. 비발디의 성악곡은 아직 조직적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 지지않아, 따라서 그 작품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입니다. 그러나 이 곡은 그런대로 잘 알려진 비발디의 성악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발디의 많은 작품과 마찬가지로 이 곡의 작곡 연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일설에는 이 곡은 비발디가 1704년부터 40년에 걸쳐 마에스트로 디 콘체르티(합주장)로 있던 베네치아의 소녀고아원을 위해 쓴 것이리라는 추측을 하기도 한다. 이 소녀고아원은 비발디를 비롯하여 많은 우수한 음악가를 모아 고도의 음악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음악 학교로 간주해도 좋으나 다만 여기에는 비발디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남성 합창단은 없었을 터이므로 혼성합창을 가진 "글로리아"가 과연 소녀고아원을 위해 씌어졌는지는 의문입니다. 이 곡은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프레도 카젤라(Alfredo Caselia 1883-1947)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카젤라는 이전에 지아코모 뒤라쪼백작(1717-1794)이 수집하여 현재는 이탈리아 토리노 국립박물관 소장의 대량의 비발디 작품의 필사보를 조사하던중 우연히 이 곡이 발견 되었습니다. 카젤라는 스케치째로 남아있던 몇개부분을 보필하여 1939년 9월 시에나에서 행해진 비발디 페스티발에서 자신의 지휘아래 이 곡을 연주한 바 있습니다. 글로리아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로마교회에서 행해지는 미사의 두번째 부분 (키리에,글로리아, 크레도, 상투스, 베네딕투스, 아뉴스데이)에 해당됩니다. 그런데, 비발디의 이 글로리아는 연주하는데 30분을 요하는 대규모 곡으로 미사의 일부분으로써 씌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며 따라서 또, 교회에서의 예배용으로 작곡된 것이 아니라는 것도 확실하다고 하겠습니다. 텍스트의 취급에 있어서 음악적 효과가 종교적 견지에 우선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도 아마 비발디는 개인적인 종교감정(그는 1703년에 성직에 들어갔습니다)에서 성스러운 글로리아의 텍스트를 다루어 한 음악가로서 그것을 개성적으로 표현하는데 마음을 쓴 것으로 추측됩니다. 비발디가 우수한 바이올리니스트였다는 것은 누가나 인정하는 바이지만 이 곡은 비발디가 성악의 작곡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였다는 것을 잘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비발디의 작곡가로서 평가에 인색한 면이 있지만 이 곡의 힘찬 합창과 서정적인 아리아 폴리포닉한 선법과 호모포닉한 선법 극적인 패시지와 전원풍의 차분한 패시지, 이런 것들을 잘 대비시키면서 비발디는 풍부한 음악의 세계를 전개하고 있어 이탈리아 바로크의 성악곡의 전형을 여기서 볼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
'종교 聖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철 신부 장례미사곡 : 고별식 '이 영혼을 받으소서'│죽음 가까이 (0) | 2013.10.27 |
---|---|
2008년 5월 31일 분당요한성당 파이프오르간 및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연주실황) (0) | 2013.10.27 |
모짜르트: 춤추라 기뻐하라 행복한 넋이여 K.165 - Emma Kirkby (0) | 2013.10.27 |
모짜르트: 춤추라 기뻐하라 행복한 넋이여 K.165 - Judith Blegen (0) | 2013.10.27 |
앨범: 모짜르트: 레퀴엠 라단조 K 626 - Zdenek Kosler (0) | 201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