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그리그: 첼로 소나타 가단조 Op. 36 - Paul Tortelier │ 국민파 음악

리차드 강 2013. 11. 11. 19:46

Cello Sonata in A minor, Op. 36

그리그 첼로 소나타 가단조 Op. 36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Op. 36 전악장 연주

 

Edvard Hagerup Grieg Cello Sonata in A minor, Op. 36
Cello Sonata in A minor, Op. 36
Paul Tortelier, cello / Robert Weisz, piano

Ⅰ. Allegro agitato
Ⅱ. Andante
Ⅲ. Allegro

그리그가 남긴 단 한개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그리그는 이곡을 1883년에 완성하여 직업적 첼로 연주자였던 형, 존(John)에게 헌정하였다. 이때는 비록 완성시키지는 못하였지만,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쓰고자 고군분투하던 시기, 어려우면 친숙함으로 회귀하려고 하는 것, 이것이 아마도 이 작품에 1번 피아노 협주곡 분위기를 남기게 된 원인이 아닐까?

그러나 북구의 서정과 풍경이 그려지는 듯한 선율이 아름답기만 하다. 이 곡은 그리그의 풍부한 감정과 애상이 그대로 드러나는 곡 중의 하나다.

     

 

 

     

토르틀리에, 폴 / Tortelier, Paul (1914-1990) French cellist

생년월일 : 1914년 3월 2l일, 파리(프랑스)
악기 : 첼로

출신학교 : 파리 음악원 (제라르 에킹)
사사 : 파블로 카살스

데뷰년 : 1934년, 랄로의 첼로 협주곡(라무뢰 관현악단)
주요 레퍼토리 : 프랑스의 작품, 슈만의 첼로 협주곡
주요 레이블 : 프랑스 에라토

굽은 엔드핀 '토르틀리에 피크'의 발명자이기도 하다. 이 엔드핀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포지션의 기술이 편해지고 왼손기술이 유리해지는 한 편 오른손으로 쥔 활도 현에 얹기 쉬워진다. 로스트로포비치도 이 트로틀리에 피크를 사용하고 있다.

또 [How I Play How I Teach] 를 1975년에 저수랗여 전 세계 첼로 학도들에게 애독되고 있다. 35년부터 몬테 카룰로 관현악단, 37년부터 보스턴 교향악단, 39년부터 파리 필하모니아 관현악단, 45년부터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의 수석주자를 역임했다.

56년에는 이스라엘 필하모니아 관현악단을 지휘하여 지휘자로서 데뷔했다. 56년부터 70년까지 파리 음악원 교수, 68년부터 에센 음악대학의 교수를 맡아 후진 양성에 힘썼다. 문하에 뒤 프레 및 노라스 등이 있다.(하세가와 다케히사) 출신교 : 파리 음악원(제라르 에킹 사사), 파블로 카잘스 사사

     

 

 

     

토르틀리에, 폴 2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첼로 공부를 하였고, 10세 때 파리 음악원에 입학, 처음에는 R.L.피라르에게, 이어서 제라르 헤킹을 사사하였고 1930년 16세 때 1등상을 받고 졸업했다. 이해 12월 파리에서 데뷔하였고, 장위보와의 두오나 라무뢰 관현악단과 콜론관현악단의 독주자로서 활동하였다.

한편, 파리 음악원에서는 공부를 계속해 장갈론과 노엘 갈론에게 대위법과 작곡을 배웠고, 1935년에는 화성학 부문에서 1등상을 수상했다. 이해 몬테카를로 오케스트라의 수석 첼로 주자가 되었고,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보스턴 교향악단, 파리 필하모니 협회 관현악단, 더욱이 1945년부터 1946년까지는 파리음악원관현악단의 수석을 역임하게 되었다.

1947년 이후는 독주자로서의 활동에 전념하였고, 이해 토머스 비첨 경이 지휘한 로얄 필하모니와 R.슈트라우스의 [돈키호테]를 협연함으로써 영국에 데뷔하였다. 이것은 레코드(EMI)에도 녹음되어 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을 국제적으로 높이게 하였으며, 그 이후 유럽 여러 나라에서 널리 활약하였다 1950년 프라도에서 시작한 카잘스 음악제에도 연속 출연했으며, 미국에는 1952년 뉴욕에서 프랑크 마르텡의 [바라드]의 초연을 함으로써 데뷔하였다.

1955년부터 1년간 이스라엘에서 은퇴 생활을 했으나 1936년 파리 음악원의 첼로과 교수로 임명되었는데, 그 후 12년간이나 그 자리에 있으면서 많은 영재를 키웠다. 또 1956년부터는 오케스트라의 지휘 활동을 시작하였는데, 그 최ㅣ초의 기회는 이스라엘 필하모니의 연주회였다. 파리의 라무뢰 관현악단을 오랫동안 지휘하였고, 영국 실내관현악단과 그 밖의 유럽 여러 오케스트라에도 종종 객원 지휘를 하였다. 1965년에는 옥스퍼드의 바흐 음악제도 지휘자로서 출연하였다.

1971년 파리를 떠나 서독 에셀의 플크방 슐레의 교수가 되었다. 카잘스, 메뉴인, 켐프, 마르탱과 그 뜻을 같이하여 음악 급ㄴ래의 정신을 되찾자는 운동을 강려갛게 추진한 바가 있다. 토르틀리에는 작곡가로서도 알려져 있다.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