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앨범: KBS 클래식 FM 음악 풍경화 사계 시리즈: 가을 (가.을.아.침) - Various Artist (2011 Aulos)

리차드 강 2016. 11. 2. 16:16

가을 (가.을.아.침)

KBS 클래식 FM  음악 풍경화 사계: 가을 (가.을.아.침)

Various Artist (2011 Aulos)

1. Ave Maria - Track 전곡 연주

 

Album Title: KBS 클래식 FM: 가을 (가.을.아.침)
(Composer: Varous Artist
Artist: Various Artist
Audio CD: 2011
Label: Aulos
Copyright: (c) 2011 Aulos
Genre: Classical

 

가을 '가을아침'

나에게서 당신에게로...
단풍잎처럼 사무치게 우리 가슴을 물들이는 가을의 음악

12년 전의 일기장을 들여다보듯 . . .

봄날 오후의 설렘, 여름밤의 추억, 가을 아침의 투명한 서정, 그리고 겨울 저녁의 침묵.
그들과의 동행 ...

12년 전의 일기장을 들여다보듯 시간을 뛰어넘어 1998년으로 되돌아간다.
낡은 책장 속의 오래된 책들이 시간의 흔적만큼 정겨운 책 내음을 품고 있듯이 음반 속의 글도, 사진도 12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음을 느끼게 한다.
하지만 그 안의 음악들은 여전히 반짝반짝 빛나고 있음을 새삼 느낀다.

누군가는 물을 것이다. 예전과 너무나 달라진 첨단의 미디어 시대, 마음만 먹으면 어떤 경로든 쉽게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이 시대에 옛 음반을 다시 세상에 내어놓으려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그러면 나는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라디오이기 때문이라고. 아무리 세상이 바뀌어도 라디오에 기대는 아날로그적인 정서는 바뀌지 않을 거라는 믿음 때문이라고.
나 또한 라디오를 친구삼아 젊은 날을 보냈고, 지금도 여전히 라디오에 기대고 있기 때문이다.

'사계' 음반은 라디오와 더불어 시간을 보내고 계절을 맞이하는 사람들을 위한 작업이었다.
12년 전 '사계 시리즈'를 만드는 동안 경험했던 행복한 고통들을 떠올려 본다.
모스크바에서 차이코프스키 콩쿨을 취재할 때 만났던 사람들의 소박하고도 깊은 음악사랑.
자신들이 가진 가장 깨끗한 옷을 차려 입고 성스러운 표정으로 음악회장으로 들어서던 그들의 눈빛을 기억한다. 그 눈빛엔 이념도, 가난도 없었다. 오로지 음악에 대한 사랑만이 넘쳤다. 클래식의 힘은 바로 그런 것이리라. 오랜 세월 변함없는 친구처럼, 작은 물결에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배처럼 깊이와 넓이를 가진 음악.

이 음반이 애청자들 곁에서 오랜 친구처럼 마음을 나누고 시간을 나눌 수 있는 친구가 될 수 있다면 좋겠다.

'사계 시리즈'를 다시 준비하면서 지키려 했던 가장 큰 원칙은 '아쉬움이 있더라도 첫 번째 작업의 흐름을 그대로 살리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저작권이나 음원 사용에 변동이 생긴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연주자나 곡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가을'의 타이틀곡으로 발매 당시 화제를 모았던 Inessa Galante의 Ave Maria를 싣지 못해 아쉬움이 크지만, 몇 년 전 레코드실에서 발견한 보석같은 Irina Arhipova의 Ave Maria를 대신 담게 되어서 역설적인 기쁨을 느낀다. 메조소프라노와 오르간, 트럼펫, 그리고 성당의 깊은 울림이 또 다른 감동을 주리라 생각한다. 이 음반에 수록된 음악들이 최고의 명반, 최고의 명연주라고 할 수는 없지만 보다 많은 애청자들이 클래식에 한걸음 다가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내 방송생활 25년, 나의 젊음을 관통한 클래식 FM과 함께한 시간이 이 안에 응축되어 있다.
이 겨울, 나는 참 행복하다.
이 음반을 다시, 클래식을 사랑하는 애청자 여러분께 내어 놓을 수 있어서.....

프로듀서 김혜선

 

 

1. Ave Maria, for soprano & piano (known as by Caccini)  (06:16)
   Common Name   Ave Maria For Soprano & Piano
   Composer   Giulio Caccini (1551 - 1618), Vladimir Vavilov (1925 - 1973)
   Chorus Master   Ludmila Ermakova
   Performer   Irina Arkhipova (Mezzo-Soprano)
                     Timofei Dokshitser (Trumpet)
                     Oleg Yanchenko (Organ)
   Chorus   The USSR TV and Radio Large Chorus
   Genre   Ave Maria / Renaissance Period / Sacred Music
   Date Written   circa 1600
   Period   Renaissance; Modern
   Country   Italy

2. Piano Concerto No. 21 in C major ("Elvira Madigan") K. 467: II. Andante  (06:36)
   Common Name   Elvira Madigan, Piano Concerto 21
   Catalog No.   K 467
   Composer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Conductor   Tamás Vásáry
   Performer   Tamas Erdi (Piano)
   Orchestra   Budapest Symphony Orchestra
   Genre   Classical Period / Concerto
   Date Written   1785
   Period   Classical
   Country   Austria

3. Nocturne No.5, for piano in B flat major, H. 37  (02:52)
   Common Name   Nocturne For Piano
   Catalog No.   H 24
   Composer   John Field (1782 - 1837)
   Performer   Benjamin Frith (Piano)
   Genre   Nocturne / Romantic Period
   Date Written   1812
   Period   Romantic

4. Adelaide, song for voice & piano, Op. 46  (06:27)
   Composer   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
   Performer   Fritz Wunderlich (Tenor)
                     Hubert Giesen (Piano)
   Genre   Art Song / Classical Period / Song
   Date Written   1794-1795
   Period   Classical

5. The Gadfly, suite from the film score, Op. 97a (assembled by Atovmyan): Romance  (05:53)
   Common Name  The Gadfly Suite From The Film Score A Assembled By Atovmyan
   Composer   Dmitry Shostakovich (1906 - 1975)
   Conductor   Leonid Grin
   Orchestra   Berlin Radio Symphony Orchestra
   Period   Modern
   Notes   Composition written: Soviet Union.

6. Recuerdos de la Alhambra  (4:14)
   Composer   Francisco Tárrega (1852 - 1909)
   Performer   Norbert Kraft (Guitar)
   Genre   Character Piece / Romantic Period
   Date Written   circa 1880-1905
   Period   Romantic
   Country   Spain

7. Romance in G major for violin & orchestra, Op. 26  (07:06)
   Common Name   Romance For Violin & Orchestra
   Composer   Johan Svendsen (1840 - 1911)
   Conductor   Adrian Leaper
   Performer   Dong-Suk Kang (Violin)
   Orchestra   Czechoslovak Radio Symphony Orchestra Bratislava
   Genre   Romance / Romantic Period
   Date Written   1881; Norway
   Period   Romantic
   Date of Recording   09/1989
   Venue   Czech Radio Concert Hall, Bratislava

8. Romances sans paroles (3) for piano, Op. 17: No. 3 In A-Flat Major: Andante Moderato  (02:45)
   Common Name   Romances Sans Paroles 3 For Piano
   Composer   Gabriel Fauré (1845 - 1924)
   Performer   Jean Martin (Piano)
   Genre   Romance / Romantic Period / Song Without Words
   Date Written   1863
   Period   Romantic

9. Kol Nidrei, Adagio on Hebrew Melodies, for cello & orchestra, Op. 47  (09:59)
   Composer   Max Bruch (1838 - 1920)
   Conductor   Gerhard Markson
   Performer   Maria Kliegel (Cello)
   Orchestra   National Symphony Orchestra of Irland
   Genre   Prayer
   Period   Post-Romantic
   Notes   Composition written: Jewish.

10. Gianni Schicchi, opera: 'O mio babbino caro'  (02:34)
   Common Name   O Mio Babbino Caro, Gianni Schicchi Opera
   Composer   Giacomo Puccini (1858 - 1924)
   Conductor   Tullio Serafin
   Performer   Maria Callas (Soprano)
   Orchestra   Orchestra del Teatro alla Scala di Milano
   Genre   Comic Opera / Opera / Romantic Period
   Date Written   1918
   Period   Romantic
   Language   Italian
   Country   Italy

11. Concerto for oboe, strings & continuo in D minor, SF. 935 (often transposed to C minor): II. Adagio  (04:17)
   Common Name   Concerto For Oboe Strings & Continuo
   Composer   Alessandro Marcello (1669 - 1747)
   Performer   József Kiss (Oboe)
   Orchestra   Budapest Ferenc Erkel Chamber Orchestra
   Genre   Baroque Period / Concerto
   Date Written   1716
   Period   Baroque
   Country   Italy

12. String Sextet No. 1 in B flat major, Op. 18: II. Andante ma moderato  (09:34)
   Common Name   String Sextet 1
   Composer   Johannes Brahms (1833 - 1897)
   Ensemble   Stuttgart Soloists
   Genre   Romantic Period / Sextet
   Date Written   1860
   Period   Romantic
   Country   Germany
   Recording Date   11/1989
   Venue   Tonstudio Teije van Geest, Heidelberg, Germany

 

 

[ 수록곡 해설 ]

01. 카치니-바빌로프ㅣ아베 마리아
Caccini - Vladimir Vavillov : Ave Maria, Irina Arhipova (mezzo sop), Timofei Dokshitser (trumpet), Oleg Yanchenko (organ), USSR 방송합창단

가을의 서정과 너무나 잘 어울리는 작품으로 대단한 인기를 얻었던 카치니의 '아베 마리아' 는 '블라디미르 바빌로프' 의 작품이라는 것이 정설로 굳어져가고 있다. 구 소련의 기타리스트이자 류트 연주자였던 블라디미르 바빌로프는 자신의 작품을 타인의 이름으로 발표하는 것을 즐긴 작곡가였다. 10년 전 '사계' 시리즈의 첫 음반으로 '가을' 이 발매되었을 때에는 이네사 갈란테의 목소리로 주목을 받았지만 메조 소프라노 Irina Arkhipova의 깊은 목소리로 듣는 '아베마리아'의 울림은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한다. 성당에서 녹음된 웅장한 분위기가 '아베마리아' 를 둘러싼 아우라처럼 느껴지는 이 곡에는 독보적인 트럼펫 연주자 티모페이 독시췌르와 오르가니스트 올레그 얀첸코도 참여했다. 신께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다가가고 싶어 높은 곳에 지었다는 중세의 수도원을 연상시키는 '아베 마리아', 음악 속에 지은 고결하고 높은 성채를 만나는 듯하다.

02. 모차르트ㅣ피아노 협주곡 21번 C장조 K.467 - 2악장 안단테
Mozart : Piano concerto no.21 in C major K.467- II. Andante, Tamas Vasary (piano), Budapest Symphony Orchestra

햇살이 눈부신 어느 날, 두 그루 나무 사이에 줄이 매어졌다. 줄 위로 사뿐히 올라선 엘비라 마디간이 천천히 앞으로 나아간다. 위태로운 줄 위의 걸음처럼 서커스단을 뛰쳐나온 엘비라 마디간과 군대에서 탈영한 식스틴 중위의 사랑은 위태롭게 펼쳐진다. 하지만 그들의 사랑을 지켜보고 있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을 듣는 동안은 슬픔마저도 아름답다. 위태로움마저 사랑의 필수요건으로 느껴진다. 눈부신 햇살이 엘비라의 풍성한 스커트 자락에 와서 부서지던 장면. 위태로움을 넘어 사랑의 망명지를 찾는 두 연인이 비극적인 종말을 맞으리라는 생각은 잠시 접어두게 하는 모차르트의 선율은 발표할 당시에도 엄청난 환호를 받았던 작품이었다. 시대마다 음악적 트렌드가 달라진다 하더라도 '불멸의 아름다움' 은 결코 그 빛이 바라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작품이다. 영화의 고전으로 불리는 '엘비라 마디간' 도 그런 의미에서 모차르트의 이 작품을 택한 것은 아니었을까...

03. 존 필드ㅣ녹턴 5번
John Field : Nocturne No.5, Benjamin Frith (piano)

'하나, 둘, 셋, 넷... 밤은 많기도 하다' 윤동주 시인의 이 짧은 시를 떠올려 본다. 존 필드는 윤동주 시인처럼 '밤은 많기도 하다' 는 것을 음악, 그 중에서도 '녹턴' 을 통해 보여준다. '밤의 음악' 인 '녹턴' 의 역사는 1814년 존 필드가 18곡의 작품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존 필드의 '녹턴' 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5번은 간결한 선율과 처마에서 떨어지는 맑은 낙수 같은 선율이 고단했던 많은 것을 내려놓게 한다. 삶의 군더더기들을 다 발라내고 밤의 뼈를 어루만지는 느낌이다.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이 곡을 들으며 위로 받고, 불면의 밤을 견뎌낼 힘을 얻었으리라. 존 필드가 개척하고 쇼팽이 완성시킨 '녹턴' 은 밤이 계속되는 한 영원히 사랑 받을 것이다.

04. 베토벤ㅣ아델라이데
Beethoven : Adelaide Op.46, Fritz Wunderlich (tenor), Hubert Giesen (piano)

부릅뜬 눈, 고집스럽게 다문 입술, 한 번도 맑고 유쾌하게 웃어본 적이 없는 것 같은 완고한 얼굴. 하지만 베토벤은 늘 사랑을 갈구한 사람이었고, 연인을 향해 열정적인 사랑의 편지를 쓰기도 했다.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불멸의 연인' 을 그리워하던 예술가. 베토벤은 가장 위대한 음악의 영웅이지만, 어쩌면 그보다는 사랑하고 사랑 받는 사람으로 살고 싶었을 지도 모른다. 1795년, 베토벤이 25살에 작곡한 '아델라이데' 는 '불멸의 사랑노래' 다. 프리드리히 마티손의 시에 베토벤은 아마도 많은 위로를 받았으리라. '아델라이데' 를 완성한 뒤 베토벤은 시인에게 이 곡을 바쳤다. 겸손한 편지와 더불어...

'나의 무덤에, 내 심장이 타버린 재에서 기적처럼 꽃 한 송이가 피어날 것이다. 그 보라색 잎들 위에서 그대의 이름이 빛날 것이다. 아델라이데! "

시의 마지막 부분은 '불멸' 을 꿈꾼 베토벤의 마음을 그대로 옮겨 적은 것 같다.

'아델라이데' 는 프리츠 분덜리히의 목소리로 들을 때 가장 아름답다. 그 목소리의 떨림, 그 목소리의 색채가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벨벳처럼 부드럽고 바람 앞의 촛불처럼 섬세한 떨림이 '아델라이데' 를 '불멸의 노래' 로 완성시킨다. 첫 오디션을 보러 갈 때 기차를 놓쳐 우유를 배달하는 마차를 타고 갔다는 이 불운한 성악가는 36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베토벤의 고통, 베토벤의 불멸을 그가 너무나 잘 표현한 이유도 운명의 거센 도전을 이겨나간 두 예술가 사이의 공감 때문이 아니었을까...

05. 쇼스타코비치ㅣ로망스
Shostakovich : Romance, Berlin Radio Symphony Orchestra, Leonid Grin (cond)

쇼스타코비치에게는 두 얼굴이 있다. 엄숙하고 비장한 음악과 가볍고도 아름다운 선율을 드러낸 음악을 동시에 구현한 음악가라고 할 수 있다. 몸은 소련에 있으나 마음은 서구를 향해 있었던 그의 현실과도 무관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현실을 음악에 투사해서 역설적인 성과를 얻어낸 작곡가, 가장 아름답고 로맨틱한 것 속에 선동적인 느낌을 담고, 가장 쓸쓸하고 슬픈 선율 속에 냉소를 담고, 절절하게 아름다운 선율과 인기 속에 저항정신을 담아 놓는 작곡가이기도 하다. 쇼스타코비치의 '로망스' 는 원래 영화 음악으로 작곡되었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받던 시절의 이탈리아 혁명가를 그린 이 영화는 소련에 남아 음악적 투쟁을 하던 쇼스타코비치의 모습이 투영된 자화상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영화는 잊혀졌으나 쇼스타코비치의 '로망스' 는 잊혀지지 않았다. 클래식 음악방송에서도 애청자들의 사랑을 받는 곡이다.

06. 타레가ㅣ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Tarrega : Recuerdos de la Alhambra, Norbert Kraft (guitar)

알함브라 궁전 나스리 궁의 현판에는 이렇게 써있다. '적게, 간단하게 말하라. 평화로울 것이다. '알함브라 궁전에서는 말을 아껴도 좋다. 우리의 모든 마음을 대신하는 타레가의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이 있으므로... 압도적인 경관, 구석구석마다 배어있는 이야기가 마음을 떨리게 한다. 기타리스트의 트레몰로처럼. 정복과 추방의 역사를 품고 시에라네바다 산맥 아래에서 침묵하고 있는 알함브라 궁전. 달빛을 받아 빛날 때 가장 아름답다는 알함브라를 떠올려 보면 '아름다움' 을 초월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된다. 눈으로 볼 수 없으나 이토록 아름다운 선율로 알함브라 궁을 그려놓은 타레가처럼...

07. 스벤젠ㅣ로망스 Op.26
Svendsen : Romance Op.26, Dong Suk Kang (Violin), Czecho slovak Radio Symphony Orchestra, Adrian Leaper (cond)

Johann Severin Svendsen은 1840년 노르웨이에서 태어나서 라이프치히에서 공부한 음악가다. 그리그와 비슷한 행보를 보였지만 스벤젠은 유럽과 미국, 그리고 코펜하겐에서 바이올리니스트로 활약했다. 작곡가로서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스칸디나비아의 정서를 담은 뛰어난 바이올린 작품을 남겼다. 스벤젠이 1881년에 작곡한 '로망스' 는 낭만주의 음악과 북유럽의 민속음악이 절묘한 하모니를 이룬 걸작이다. 바이올린의 심오하고도 유려한 선율이 북유럽의 길고 쓸쓸한 추위를 연상시킨다. 로맨틱한 선율이라기보다는 외투자락으로 스며들었다가 사라지는 바람처럼 쓸쓸하고도 눈물겨운 느낌이다.

08. 포레ㅣ로망스 Op.17-3
Faure: Romance Op.17-3, Jean Martin (piano)

포레의 음악은 우아하다. 간결하고 투명하면서도 기품 있는 성찰을 보여준다. '로망스' Op.17-3 은 가을 아침 풀잎에 맺힌 이슬처럼 시리고도 투명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곡이다. 시를 쓰듯 음악을 섬세하게 다룬 포레의 능력이 잘 발휘된 곡이기도 하다. 원래 피아노 곡으로 작곡된 '로망스' 는 포레가 발표한 몇 곡의 '무언가' 중의 하나다. '무언가' 는 멘델스존으로부터 시작된 낭만주의 시대의 산물이다. 음악만이 시의 내용과 느낌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믿었던 낭만주의자들의 정신을 가브리엘 포레는 성실하게 계승하고 있다. 포레의 음악은 기품 있는 한 편의 시다. 그리고 그 아름다운 결정체가 바로 1894년에 작곡된 이 '로망스' 다.

09. 브루흐ㅣ콜 니드라이
Bruch : Kol Nidrei
Maria Kliegel (cello), National Symphony Orchestra of Irland, Gerhard Markson (cond)

Kol Nidrei 는 히브리로 '모든 서약들' 이라는 뜻이며 대속죄일 전야에 부르는 기도문이라고 한다. 흔히 '신의 날' 이라고 소개되었던 Kol Nidrei 는 신앙심 깊었던 막스 브루흐가 음악으로 남긴 반성문, 성찰의 기도문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브루흐는 음악 박사학위와 신학, 철학 박사학위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던 작곡가이자 신앙인이었다. 깊은 성찰을 통해서 옛 히브리의 성가를 끌어올린 브루흐의 능력이 최고조로 발휘된 작품이기도 하다. 비통하고도 장엄한 선율이 첼로에 실려 사람들의 마음을 흔든다. 첼로의 현이 마치 우리들의 갈비뼈를 긋는 것 같은 애절한 선율이며, 첼리스트라면 누구나 한번쯤 연주해 보는 명곡이다.

10. 푸치니ㅣ오페라 <쟌니 스키키> - ‘오 나의 사랑하는 아버지’
Puccini: Opera (Gianni Schicchi) - 'O mio babbino caro'
Maria Callas (sop), Milan Teatro alla Scala Orchestra, Tullio Serafin (cond)

푸치니의 오페라 <쟌니 스키키> 중에 등장하는 이 아리아는 오페라보다 영화 '전망 좋은 방' 을 먼저 떠올리게 한다. 피렌체로 여행을 간 루시, 그녀에게 기꺼이 전망 좋은 방을 양보해 준 청년 조지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이 영화는 삶이 결코 전망 좋은 방에서 내려다보는 풍경 같은 것은 아님을 알려준다. 사랑 역시도 우리가 꿈꾸는 것처럼 달콤한 것만은 아니며 창문으로 보는 풍경처럼 드러나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도 알려주는 멋진 작품이다. 영화를 더욱 인상 깊에 해준 오페라 <쟌니 스키키> 속의 아리아 '오, 나의 사랑하는 아버지' 는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는 '라우레타' 의 간청을 담고 있다. 영원한 디바 '마리아 칼라스'의 목소리로 듣는 '오, 나의 사랑하는 아버지', 마리아 칼라스의 신화를 느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11. 마르첼로ㅣ오보에 협주곡 D단조 - 2악장 아다지오
Marcello : Concerto for oboe in D minor - II. adagio
Jozsef Kiss (oboe), Budapest Ferenc Erkel Chamber Orchestra

가을 아침 10시, 햇살이 잘 드는 거실에 앉아있을 때 떠오르는 한 곡을 꼽아보라면 단연 마르첼로의 오보에 협주곡 2악장을 선택할 것이다. 서두르지 않는 빛의 걸음걸이를 닮은 오보에의 선율. 가을 햇살로 만든 빗이 우리들의 마음을 구석구석 빗질하는 것 같다. 알레산드로 마르첼로는 17세기 후반에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음악가이자 작가였고, 그의 동생 베네데토 마르첼로 역시 작곡가이자 작가여서 두 작곡가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도 마르첼로의 이 오보에 협주곡을 무척 아껴서 쳄발로 곡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12. 브람스ㅣ현악 6중주 1번 op.18 -2악장 안단테 마 모데라토
Brahms : String sextet no.1 op.18 - II. andante ma moderato, Stuttgart Soloists

가을에 들어야 할 단 하나의 음악을 꼽는다면 주저 없이 이 곡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많으리라. 1860년 27살의 브람스가 작곡한 이 작품은 '남자의 고독, 브람스의 눈물' 이라고 불린다. '브람스 풍의 고독으로부터 보내 온 초대장' 같다. 클라라는 애절한 선율이 마음을 흔드는 2악장을 특별히 좋아했다고 한다. 브람스는 이 곡을 클라라의 마흔 한 번째 생일로 바쳤다. 음악을 통해 영화를 더욱 돋보이게 만드는 탁월한 재능을 가진 루이 말 감독이 이런 이야기를 놓칠 리 없다. 루이 말 감독은 고독한 여주인공 '잔느' 를 따라가는 영화 '연인들' 에서 이 곡을 더없이 아름답게 사용했다. 자유롭게, 위태롭게, 그리고 고독하게....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