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ori Songs 마오리 부족의 노래 Dame Kiri Te Kanawa (Soprano) 1944 -
01. Hine E Hine (Lullaby) - Track 전곡 연주 The Abbey Road Ensemble |
|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237/u90120-21.jpg)
|
뉴질랜드 마오리족 인구 : 약 75만 명 거점 : 뉴질랜드 언어 : 마오리어, 영어 종교 : 기독교, 마오리 전통종교 마오리족(Māori族)은 폴리네시아 동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뉴질랜드의 원주민이다. 마오리어를 사용하며 토착 종교를 믿는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어보리진이 학살당한 것이나 티즈매니아 원주민이 사냥놀이의 명분으로 백인들에게 멸족당한 것과는 달리, 뉴질랜드의 마오리 족은 와이탕이 조약으로 백인(파케하)들과 동등한 관계에서 한 나라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뉴질랜드 정부에서도 마오리적 전통을 존중하고 그들의 문화를 관광 자원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마오리족의 이름에는 이상한 것이 많은데, 심지어 남자 이름이 “두번 월경한 어린 여자”도 있다. 이 사람들은 이름 뜻에 별로 의미를 두지 않는다.
개요 마오리족은 폴리네시아의 타히티 섬 부근에 살던 종족이다. 이들은 모아와 비슷한 타조를 잡아먹고 살아 '타조 사냥꾼' 이라고도 불렸다. 마오리 족은 10세기경 카누를 타고 이곳으로 건너왔는데, 이때 쿠마라, 감자, 우무, 조롱박 등을 가지고 왔다. 마오리 족은 대부분 북섬의 북반부에 정착하여 땅을 파는 막대기와 호미 비슷한 삽으로 고구마를 재배하며 생활하였다. 처음에는 많은 부족으로 나뉘어 추장을 중심으로 생활하면서 부족 간의 전쟁을 되풀이하였다. 그러나 18세기에 백인들이 들어온 후 마오리 족은 백인들과 1848년 와이탕이 조약을 맺어 공존하게 되었다. 마오리족은 조각, 직물, 음악, 무용 등에서 독특한 문화를 창조하였다. 특히 목공예는 다른 폴리네시아인들보다 뛰어나다. 마오리족은 남자는 목각을 하고 여자는 수직 예술과 길쌈을 하였다. 이들은 집회소의 기둥이나 벽에 독특한 나선 무늬와 이상한 표정의 얼굴들을 조각하고, 무기, 카누, 일상용품 등에도 조각을 한다. 지금은 공예학교를 세워 전통기법을 전승하고 있다. 괴팍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마오리족은 백인 이주민과 투쟁도 하였으나, 지금은 고유의 문화를 보존하며 백인과 융화하여 살고 있다. 마오리족의 정체성 문제 뉴질랜드 정부가 존중하고 발전시킨 마오리족 전통문화는 관광용일 뿐, 뉴질랜드 마오리족들은 전통문화를 상실했다. 마오리족의 80%가 도시에서 살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낮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민족에 대한 의식이 없기 때문에 많은 마오리족 사람들이 정체성 혼란을 겪다가 마약이나 알코올 중독 문제로 빠져 들기도 하고 폭력에 휩싸이기도 한다. 그래서 백인들에게 빼앗긴 토지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이나 마오리족의 권익을 향상해 달라는 시위나 청원 등으로 마오리 민족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마오리족 사이에서 늘고 있다. 일화 마오리 족은 뉴질랜드 군의 일부로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Album Title: Maori Songs
Composer: Traditional, Kingi Tahiwi, Erima Kaihau, Paraire Tomoana Performer: Kiri Te Kanawa (Soprano) 1944- Maori Group: Armand Crown, Ben Gilgen, Cathy Reti, Charles Matua, Dilworth Karaka, George Henare, Hammond Matua, Mahia Blackmore, Mahinarangi Tocker, Matua Takawe, Rebecca Chaplow, Robert Wiremu, Rusty Matua, Suzanne Lynch, Taisha, Thom Nepia Ensemble: The Abbey Road Ensemble Audio CD (October 5, 1999) Number of Discs: 1 Format: Import, CD, Album Recorded in: Stereo SPARS Code: DDD Country: Europe Sung in the Maori language Made in New Zealand Recording Date: 1999 Recording Location: Revolver Studios, Auckland, New Zealand Label: EMI Music Distribution / Warner Classics Copyright: (c) 1999 EMI Classics Records Ltd. Total Length: 56:23 Genres: Classical, Folk, World, & Country Style: Pacific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237/u90120-27.jpg)
Performer Dame Kiri Te Kanawa (Soprano) Ensemble The Abbey Road Ensemble Date of Recording 1999
01. Hine E Hine (Lullaby) (4:32) Composer Princess Te Rangi Pai Soloist George Henare (Waiata Solo Chant) Period 20th Century Date Written by 1916;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This selection is a Maori folksong attributed to Princess Te Rangi Pai. 02. Tarakihi (The Locust) (2:56) Composer Traditional Notes Arranged: Carl Doy Date Written New Zealand 03. Moe Mai E Hine (3:25) Composer Traditional (Thuringia) Soloist Mahinarangi Tocker (Patere Solo Chant)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04. Hoea Ra (3:58) Composer Traditional Performer John Fraser (Piano)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05. Matangi (3:33) Composer Traditional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06. Huri Huri (3:25) Composer Traditional (Maori) Soloist Rebecca Chaplow (Karanga & Solo Chant)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07. E Papa (Titi Torca/E Aue) (3:25) Composer Traditional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08. Ara Ka Titiro (3:49) Composer A. Reedy Soloist Rebecca Chaplow (Karanga & Solo Chant)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09. Hoki Hoki Tonu Mai (3:49) Composer Princess Te Rangi Pai Soloist George Henare (Waiata Solo Chant) Period 20th Century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10. Po Ata Rau (Now Is The Hour) (3:44) Composer Traditional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11. Piki Mai (3:09) Composer Traditional Soloist Mahinarangi Tocker (Patere Solo Chant)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12. Haere Ra E Hine (3:04) Composer Kingi Tahiwi Period 20th Century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13. E Pari Ra (3:13) Composer Traditional Words Paraire Tomoana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14. Akoako O Te Rangi (3:27) Composer Erima Kaihau Period 20th Century Date Written 1918;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15. Tahi Nei Taro Kino (3:23) Composer Paraire Tomoana Period 20th Century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16. Po Karekare Ana (3:06) Composer Paraire Tomoana Period 20th Century Date Written New Zealand Notes Arranged: Carl Doy & Bruce Lynch
포카레카레 아나 Po Karekare Ana
Dame Kiri Te Kanawa (Soprano) 포카레카레 아나(Po Karekare Ana →영원한 밤의 우정)는 마오리족의 전통 민요로 현지인들에게 널리 불리다가, 1914년 투모운(P.H. Tomoan)에 의해 편곡이 되었고, 1917년 제1차 세계대전 때 초연이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마오리족 출신의 뉴질랜드 국민 오페라 가수 '키리 테 카나와(Kiri Te Kanawa)'가 이 노래를 부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1950년 한국전쟁에 참가한 뉴질랜드 군인(마오리 부족 원주민)에 의해 알려지며 70년대에 대한민국에도 《연가》(戀歌)라는 노래로 '트윈폴리오'에 의해 번안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009년 김용화 영화 《국가대표》에는 1987년생의 뉴질랜드가 자랑하는 팝페라 가수 헤일리 웨스튼라(Hayley Westenra)가 부른 《포카레가레 아나》가 삽입되었다.
Maori Songs - Kiri Te Kanawa, soprano (1999 EMI Classics) 키리 테 카나와가 새 앨범(MAORI SONGS)를 발표했다. 카나와의 청아한 목소리와 마오리 민속음악단의 코러스가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음악의 향연. 지난 내한 공연 때 '연가'(비바람이 치는 바다..)를 앵콜곡으로 불러 우리를 놀라게 했던 키리 테 카나와... 알고보니 '연가'의 원곡이 마오리 족의 노래였다고 한다. 마오리족 태생 카나와가 1999년 새해를 맞아 출시한 음반, 연가의 원곡 외에 마오리족의 노래들을 담았다. 백인들의 약탈이 시작되기 전 뉴질랜드 땅의 주인이었던 마오리족의 삶을 담은 귀한 음반. 오싹할 정도로 영적인 힘이 느껴지는 전쟁 노래부터 조상 숭배의 음악, 형제애를 위함 음악, 애틋한 사랑 노래들이 담겨있다. 특히 '비라람이 치던 바다~~' 로 우리에게도 친숙한 선율의 원곡을 들을 수 있어 더욱 값진 음반이기도 하다. 형제애와 동질성을 무엇보다도 소중히 여기는 마오리족 답게 회성의 어우러짐도 독트한 느낌을 전해준다.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238/u90120-36.jpg)
키리 테 카나와 (Kiri Te Kanawa, soprano) 키리 테 카나와 여사(Dame Kiri Te Kanawa, onZ, DBE, 1944년 3월 6일 ~ )는 뉴질랜드의 성악가이다. 마오리족과 유럽인의 후손으로, 기즈번에서 태어났다. 1968년부터 오페라 가수로 활동하여 영국, 미국 등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활동 초기에는 메조소프라노 음역이었으나 후에 소프라노로 자리잡았으며, 푸치니, 모차르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베르디, 헨델의 작품을 주로 불렀다. 1973년 대영 제국 훈장 4등급(OBE) 수훈 1982년 대영 제국 훈장 2등급(DBE, 작위급 훈장) 승급 1990년 오스트레일리아 훈장 명예 컴패니언(honorary AC) 1995년 뉴질랜드 훈장(ONZ)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