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abel Lee - Edgar Allen Poe 전체 6면의 시 애너벨 리 중 1, 2, 3, 6면이다. 사랑을 주제로 한 발라드 형식의 연애시이자 애도시이다. 에드가 앨런 포가 20대의 젊은 나이로 사망한 어린 아내 버지니아 클렘(Virginia Clemm)을 추모하여 쓴 시로, 작가가 사망한 지 이틀 후인 1849년에 발표되었다. 버지니아 클렘은 1837년 14세의 어린 나이로 15세나 연상인 에드가 앨런 포와 결혼하여 10여년 동안 가난과 폐결핵으로 고생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에드가 엘런 포는 혹한 속에 담요도 없이 짚을 깐 침대에서 쓸쓸히 눈을 감은 아내를 바닷가의 어느 왕국에 사는 소녀 애너벨 리로 미화시켜 애도하고 있다. 자신과 애너벨 리의 사랑은 하늘의 천사조차도 샘낼 정도였으며, 죽음으로도 결코 갈라 놓을 수 없는 영원한 사랑이라고 노래한다. 언어가 지닌 미묘한 뉘앙스를 중시하여 이 시에서도 "바닷가의 어느 왕국에" 라는 구절과 애너벨 리 라는 아름답고도 애조 띤 음조의 이름을 각 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지난 날의 순수한 사랑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마지막 연은 밤이 새도록 사랑하는 연인의 무덤 곁에 누워 있다고 노래함으로써, 시인의 가슴 속에 다시 부활하는 애너벨 리를 느끼게 한다. 시인은 사랑하는 여인의 죽음을 신비한 환상의 세계로 승화시켜, 죽음을 초월한 영원 속에서 언제까지나 사랑이 지속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는 것이다. 사랑과 낭만을 잃어가는 현대의 젊은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낭만주의 연애시의 전형을 보여준다. 에드가 앨런 포는 죽음과 우주와 사랑을 주제로 한 음악적이고 신비적인 경향의 순수 서정시를 발표하여 근대문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주요작품에 애너밸 리 를 비롯하여 헬렌에게 To Helen 갈가마귀 The Raven 1845 등이 있다. - 애드가 앨런 포가 그의 부인과 볼티모어에서 결혼했고, 또 포 자신도 볼티모어에서 죽었는데, 웬지 그 우울하고 암울한 작품들의 분위기가 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을 볼티모어에 살아보고 나서야 했던 생각이 드네요. 애드가 엘런 포우는 버지니아 대학교에 다녔다고 한다. 학교 기숙사에 포우가 살던 곳이 박물관 처럼 보존되어 있다. 출처 백과사전
어른아이의 1집 [B TL B TL]은 예민하고 외로운 사춘기의 터널을 지나는 듯한 앨범이었다. 어른과 아이 사이에 위치한 이 경계인의 노래는, ‘어른’보다는 ‘아이’쪽에 방점을 찍고 있었다. 갑작스레 다가오는 수많은 감정들을 겪으며 느끼는 현기증과 슬픔을 꼭 끌어안고 방 한 구석에 웅크린 사춘기 소녀의 얼굴이 앨범을 듣는 내내 아른거렸다. 2009년 5월, 어른아이는 다시 2집 [Dandelion]으로 돌아왔다. 어른아이만의 정서는 여전하지만, 이제는 한층 성숙해진 모습으로 ‘어른’에 방점을 찍으며 다시 시작한다. 'Dandelion'이라는 앨범명처럼 세상 밖으로 날아 가려는 시도를 하기도 하고, 미련과 고민에서 벗어나 가볍게 부유할 줄도 알게 되었다. 어른아이는 이 앨범을 통해 자신이 더이상 우울한 사춘기 소녀가 아닌, 내면을 들여다보고 아픔을 받아들일 줄 아는 ‘어른’이 되었다는 사실을 고백한다. 앨범의 첫 트랙이자 타이틀곡은 애드거 앨런 포우의 시를 차용한 'Annabel lee'이다. ‘It was many and many a year ago'로 시작되는 이 노래는 애너벨 리 라는 여인과의 아름다웠던 사랑을 그리고 있다. 어른아이는 다소 아름다운 동화처럼 읽힐 수도 있는 이 시를, 세찬 파도소리와 애잔한 어쿠스틱 기타 선율의 하모니로써 본래의 쓸쓸함을 극대화시켰다. 곧이어 들려주는 '행복에게'는 어른아이의 성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곡이다. ‘조금 더디 와도 괜찮아 이젠 조급해하지 않아’ ‘cuz you'll be mine'이라는 가사에서는 행복에 대한 초조함에서 벗어나 반드시 행복해질 것이라는 어떤 ’확신‘을 이야기한다. 어른아이는 2년 6개월이라는 긴 시간 동안 얼마나 큰 성장통을 겪은 것일까? 그들은 이별을 이야기할 줄 알게 되었고, 행복에 집착하지 않게 되었으며 새로운 사랑을 받아들일 줄 알게 되었다. 어른아이는 정말 ‘어른’이 된 것이다. 우리는 그들이 겪었을 성장의 아픔을 이 앨범 [Dandelion]을 통해 공유한다. 그리고, 우리 중 몇은 새로운 성장통을 기다리고, 몇은 어른이 될 것이다. <파스텔문예부 황효진>
아이와 어른의 경계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여전히 사춘기인 어른들의 자화상, 어른아이 스무살과 서른, 그 사이에 어른아이가 있다. -한희정 2006년 정규앨범 〈B TL B TL〉로 오래도록 기억될 '상실'의 아픔을 노래하던 어른아이는 〈B TL B TL〉에 수록되었던 'Sad Thing'이 MBC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에도 삽입되면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별과 상실을 테마로 하던 곡들로 마음 가득 슬픈 일랑임을 선사하던 어른아이는 아이와 어른의 경계에서 시간의 흐름을 따라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 시대 어른들의 자화상이다. 아이 같은 순수함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어른의 무게를 너무도 잘 알고 있기에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대표하기 때문이다. B TL B TL 상실을 노래하던 어른 아이가 2년 6개월만의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홀로서기에 나섰다. 아름답지만 일상적인 꽃잎을 통해 따뜻한 정서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꽃도둑’ 백은하 작가가 참여한 어른아이 2집의 아트웍과 어른아이의 음악은 묘하게도 닮아 있다. 빠르고 차갑게 흘러가는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따뜻한 목소리지만 어쩐지 공허한 황보라의 목소리는 겨울 차가운 성에가 낀 창문으로 들여다보이는 주홍빛 전등을 연상시킨다. 어른아이는 그렇게 따뜻하면서도 시린 그 아득한 그리움의 정서를 담아 1집 앨범 〈B TL B TL〉에서보다 몽환적인 팝 요소가 가득한 새 앨범 〈Dandelion〉을 발표하며 오늘의 고마움을 담아 내일의 이별을 고하는 음악을 들려준다. 앨범 〈Dandelion〉의 시작을 여는 타이틀 곡인 ‘Annabel Lee’는 에드거 앨런 포우(Edgar Allen Poe)의 시 ‘Annabel Lee’에서 가사를 가져와 꿈 같은 사랑과 차가운 이별을 몽환적인 파도소리를 닮은 미디음으로 표현한다. 영원한 사랑의 약속은 꿈결 같은 기타소리와 순수한 슬픔의 정서가 가득한 우유빛의 목소리로 풀어 흩어진다. 지난 시간 속에서는 가까이 있던 행복을 미처 몰랐다던, 그래서 앞으로는 행복이 더디게 오더라도 괜찮다는 노랫말을 가진 ‘행복에게’는 삶을 관망할 줄도 알게 된 어른아이의 정서를 보여주다. 앨범 타이틀과 동명인 ‘민들레’는 이 앨범 〈Dandelion〉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들려준다. 사라지고 잊혀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지만 다시 만날 날을 위해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하는 성숙한 이별의 정서는 민들레에 빗대어 표현된다. 씨앗의 무게를 안고 차가운 바람을 따라 날아가버리지만 다음 해 봄 어디에선가 피어날 ‘민들레’는 내일을 위한 이별노래인 셈이다. ‘fool’은 누구라도 한번쯤 겪었음 직한 이별 후, 옛 사랑과의 우연한 조우를 그려내며, ‘어쩔 수 없다고 내게 말하지만, 어쩔 수 없다면 내게 말하지마!’는 어쩔 수 없을 만큼의 크기로 마음을 두드리는 드럼 소리에 무심한 듯 여린 황보라의 목소리가 얹어져 쉽게 내보여지지 않는 상처를 감춘 채 안녕을 말한다. 그리고 바람이 불어오듯 반복되는 슬픔과 그리움의 정서가 가득한 ‘miss’와 ‘아주 아주 슬픈 꿈’으로 미처 꿈에서 깨어나지 않은 듯한 몽환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어제와 같은 시간의 선상에서 늘어진 하루하루를 노래하는 ‘서성이네’와 깊숙한 마음 저 아래에서부터 채워놓는 ‘You’는 봄을 연상케 하는 따뜻한 기타소리와 이별 아닌 이별을 감싸는 포근한 보라빛의 목소리로 마음에 남아 계속해서 조용한 파장을 일으킨다.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지만 말로 내뱉어지면 흐트러질까 조심스러운 ‘I wanna B’는 어른의 마음에 웅크려 앉은 겁 많은 아이의 모습까지 담겨 있다. 사람들은 지난 시간들을 잊어가기 마련이다. 그러나 잊는 것과는 달리 잊혀져 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내재되어 있다. 겨울 앙상한 나뭇가지의 푸르름을 기억해주었던 사람들이라면 시간이 흐르고 다시 봄이 왔을 때의 고마움을 알고 있을 것이다. 차가운 공기의 흐름을 따라 날아다니지만 다음 봄을 기약하는 민들레처럼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내일의 감성을 들려줄 어른아이의 음악은 이미 성장해버린 어른의 마음 속에서 여전히 웅크리고 있는 아이에게 가만히 손을 내밀어준다. 앨범 소개글에서...
행복해지는 비결을 알려줄까? 어른아이 2집 - Dandelion 노래 들으면서 메모한 내용은 Annabel lee. 파도소리가 밤바다같고 겨울바다같다. 잔잔하고 고요한 목소리. 기타는 역시 스트로크야!! 박은하 작가의 아트웍은 어른아이 음악과 너무 잘 어울린다. 서로만을 위한 것처럼. 보컬의 이름은 황보라. 부드럽고 포근한 듯 한데 겨울이 생각난다. 몽환적인 팝. 난 대중적인 노래를 사랑하진 않아. ’이별’이 강하게 어필하고 애잔한 아픔. 정리가 안되서 이렇게 막 늘어썼는데 내 마음에 쏙 드는 음반이다. 사람들이 어떤 노래를 좋아하냐고 물어보면 대답하기가 조금 곤란한데, 나는 대중적인 노래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나쁘지 않은 노래들도 있지만 몇 곡들은 듣기가 싫을 정도로 싫어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내가 너무 간질간질한 노래를 좋아하는 줄 아는데 난 딱 이정도가 좋다. 요즘 조금 쉽게 말할 수 있는데, ’박지윤의 이번앨범같은 노래를 좋아해요’ 라고 하면 ’아~’하더라. 어른아이의 이번 앨범은 앨범소개가 너무 손발이 오그라드는 것 같다. 그래서 pass 제일 좋은 노래는 마지막 트랙의 annabel lee(original ver.)인데 첫번째 트랙의 anabel lee도 좋지만 역시 기타는 스트로크를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 (기타를 한 2년 정도 쳤었는데 스트로크가 너무 좋다. 치는 건 어렵고 듣는 거!) 예쁜(?) 영어발음과 신선한 음악은 내가 하루종일 이 CD만 들어도 질리지 않을 이유. 특별히 3번 트랙이 어른아이와 제일 잘 어울리는 것 같은데, 난 어른아이라는 밴드를 몰랐다. 이름이야 들어봤지만 보컬이름이 뭐고 1인밴드이고, 뭐 그런것들은 오늘 검색해보고 처음 알았다. 그래서 3번 트랙을 들으면서 ’가사가 참 마음에 와닿네’ 라는 생각과 ’목소리가 정말 어른아이네’ 라는 생각을 했다. 사라지는 것과 잊혀지는 것은 참 두려운 일이지만 약간 무던하게 부르는 보컬이 너무 좋다. 불완전한 아이에서 조금 더 완전한 어른이 되는 것이 두려운 것인지? 생각을 많이 하게 해준 노래였다. 계속 리뷰를 쓰면서 ’이게 리뷰인지, 다이어리에 쓰는 일기인지’하는 혼동이 생기는 건 이 노래가 다이어리에 써 있는 사랑과 이별을 노래하는 아름다운 시처럼 느껴져서 인것 같다. 원래 슬픔은 혼자서 즐기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혼자 듣고 있으니 슬프기도 하고 아름답기도 하고 잘 모르겠다. 대중적인 노래들에 지쳐있는 귀를 달래주는 좋은 노래들... 글 출처 : 인터파크 블러그 "단다뽁(toronrz6)"님
|
'팝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n Francisco (Be Sure To Wear Some...) - Scott McKenzie (0) | 2010.04.06 |
---|---|
Eva Cassidy - Songbird (1998 LP / 180g Limited Edition) (0) | 2010.01.27 |
Before the Next Teardrop Falls - Dolly Parton & Freddy Fender (0) | 2009.11.12 |
Goodbye Yellow Brick Road - Elton John│1973 (0) | 2009.10.14 |
Ne Me Quitte Pas - Jacques Brel│샹송 (0) | 200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