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聖음악

앨범: 모짜르트: 레퀴엠 라단조 KV 626 - Karl Böhm, cond (1971 DG)

리차드 강 2012. 4. 27. 10:49

Requiem KV 626

모짜르트: 레퀴엠 라단조 KV 626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1. Introitus: Requiem - Kyrie - 전악장 연주

Album Title: Requiem in D minor, K 626

Composer: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Conductor: Karl Böhm
                  Norbert Balatsch (Choir)
Performer: Karl Ridderbusch (bass)
                 Edith Mathis (soprano)
                 Julia Hamari (contralto)
                 Wiesław Ochmann (tenor)
                 Hans Haselböck (organ)
Orchestra: Wiener Philharmoniker
Ensemble: Wiener Staatsopernchor

Audio LP (March 11, 1985)
Audio CD (October 25, 1990)
Number of Discs: 1
Spars Code: ADD
Recorded in: Stereo
Recording: 1971
Written: 1791; Vienna, Austria
Label: Deutsche Grammophon (USA)
Copyright: (C) 1983 Deutsche Grammophon GmbH, Hamburg
1971/12 (ⓟ 2005) Stereo
Piaristenkirche, Wien
Length: 1 Hours 4 Mins.

     

     

Requiem for soloists, chorus, and orchestra, K. 626  (64:19)

   Catalog No.   K 626
   Composer   Wolfgang Amadeus Mozart (1756 - 1791)
   Conductor   Karl Böhm
   Performer   Karl Ridderbusch (Bass)
                      Wieslaw Ochman (Tenor)
                      Julia Hamari (Alto)
                      Hans Haselböck (Organ)
                      Edith Mathis (Soprano)
   Ensemble   Vienna State Opera Concert Choir
   Orchestra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Genre   Classical Period / Mass / Mass Ordinary / Requiem
   Date Written   1791
   Period   Classical
   Country   Vienna, Austria
   Language   Latin
   Studio/Live   Studio
   Date of Recording   1971

Ⅰ. Introit (Introit):
* Requiem æternam (give them eternal rest, Mr)
Ⅱ. Kyrie eleison (Lord have mercy)  (Chorus, Soprano): Adagio - Allegro - Adagio   9:37
Ⅲ. Sequentia (sequence)
* Dies iræ (day of wrath) (Chorus): Allegro assai  2:00
* Tuba mirum (the magnificent sound of the trumpet) (Soloists): Andante  4:17
* Rex tremendæ Majesty (King of tremendous Majesty) (Chorus): Grave  3:11
* Recordare, Iesu foot (remember, pious Jesus) (Soloists): Andante  7:03
* Confutatis maledictis (confused the damned) (Chorus): Andante  3:51
* Lacrimosa (day of tears that) (Chorus): Larghetto  4:10
Ⅳ. Offertorium (Offertory)
* Domine Iesu Christe (Jesus Christ) (Chorus, Soloists): Andante con moto  4:40
* Hostias et preces (sacrifices and preces) (Chorus): Andante - Andante con moto  5:05
Ⅴ. Sanctus (Holy, Holy, Holy) (Chorus): Adagio - Allegro  1:57
Ⅵ. Benedictus (blessed) (Chorus, Soloists): Andante - Allegro  6:53
Ⅶ. Agnus Dei (Lamb of God) (Chorus, Soprano)  11:29
Ⅷ. Communio (Communion)
* Lux AETERNA (eternal light)

     

     

Mozart: Requiem in D minor KV 626

가장 훌륭한 종교음악일 뿐만 아니라 가장 잘 알려져있고 중요해서 레퀴엠하면 모짜르트의 그것이 떠오를 만큼 후세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악기편성과 구성
편성: 4성부 합창, 바셋-혼 2, 바순 2, 트롬본 3, 트럼펫 2, 팀파니,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콘트라베이스, 오르간.

텍스트는 죽은자의 기념일을 위한 미사 전문에 의한 것으로 크게 7파트로 되어있다. 모짜르트는 레퀴엠의 텍스트를 하이든 (Michael Haydn, 유명한 하이든은 Joseph Haydn이다)이 모짜르트가 작곡하기 20년전인 1771년에 발표했던 레퀴엠을 모델로 삼아 하이든의 것을 그대로 쓰고 있다.

1. Introitus: Requiem (그들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D단조: Adagio

천천히 암울하게 흐르는 현악기의 선율 사이로 바셋혼과 파곳이 깊은 사색의 소리가 이어진다. 그리고 서로 주고받으면서 곡이 서서히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서주 다음에는 베이스로부터 소프라노까지 "Requiem"을 시작으로 계속 이어지게 된다. 그 뒤에 "et lux perpetua" 에서는 말 뜻대로 '끊임없는 빛'처럼 밝아지면서 소프라노 독창으로 이어진다. "Te decet hymnus Deus"라고 시작되는 소프라노의 독창 뒤에는 바순과 현이 이를 받쳐주듯이 진행된다. 다시 투티를 거쳐서 "Exaudi orationem neam"를 부른 뒤 서서히 종결부로 치닫게 된다.

2. Kyrie (주님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D단조: Allegro - Adagio

가장 짧은 텍스트이지만 그 음악적 효과는 훌륭하다. "Kyrie eleison"과 "Christe eleison"이지만 앞 뒤 곡을 연결시키는 음악적 역할로써는 손색이없다. 첫 부분부터 심각한 2중 푸가가 시작됨으로 매우 독특한 음악적 표현으로 가득차 있다. 앨토와 베이스가 각각 복잡하게 서로의 주제를 이야기함으로써 극적 효과가 더 커지고 있다.

Sequentia - 3. Dies irae (진노의 날, 운명의 날) D단조: Allegro assai

SEQUENTIA는 6곡으로 나누어지며 첫 곡이 이 곡이다. 앞 곡이 상당히 의미심장한 종결을 맺음으로써 이 곡에서 경외감이나 전율감을 충분히 드러내고 있다. 강렬한 투티와 추진력 있는 템포를 바탕으로 격렬한 감정을 유감없이 표현한다. 특히 소프라노, 앨토, 테너의 "Dies irae"와 베이스의 "Quantus tremor" 가 서로 반복되면서 나타나는 부분은 매우 뚜렷한 인상을 심어준다. 베이스의 효과는 그 가사처럼 두려움을 느낄 정도이다. 마지막까지 현의 치열한 연주도 극적 효과의 상승에 큰 보탬이 된다.

Sequentia - 4. Tuba mirum (놀라운 금관 소리 울려퍼지네) Bb장조: Andante

앞 곡의 격렬한 분위기와는 대조적으로 아주 섬세한 표현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트롬본이 베이스에 앞서 연주되고 뒤따라 나오는 베이스는 서로 대화하듯 시작된다. 이후에 테너, 알토, 소프라노의 순서로 계속 이어진다. 이 부분이 독창자의 기량과 오케스트라의 호흡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내는 부분이다.

Sequentia - 5. Rex tremendae (무서운 대왕) G단조: Grave

포르테로 시작되는 "Rex tremendae"는 그 뜻처럼 앞부분의 "Dies irae"와 이어지는 듯한 분위기이다. 처음 시작되는 부분의 합창은 당연히 강렬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salva me"에서는 역시 나를 도와달라는 의미처럼 애절한 분위기로 반전하게 된다. 특히 합창이 잦아들면서 더욱 간절히 도움을 바라는 심정으로 부르는 부분에서 감정의 정점에 도달한다.

Sequentia - 6. Recordare (주여 생각해보소서) F장조: Andante

앞 곡의 분위기를 이어받아서 첼로와 바셋혼에 의한 서주가 이어진다. 그뒤로 솔로의 4중창이 진행된다. 처음의 "Recordare" 부분과 중간의 "Ingemisco tamquam reus" 그리고 "Preces meae non sunt dignae"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중간부분이 조금 변형되어있는 반면 처음과 마지막은 같은 형식으로, 3부형식을 이루고 있다.

Sequentia - 7. Confutatis (사악한 자들이 혼란스러울 때) A단조: Andante

남성 합창과 격렬한 오케스트라의 반주로 저주받은 모습을 이야기하면 여성 합창이 단순한 반주와 함께 구원을 바라는 노래를 부른다. 이 두 가지 모습이 아주 상반된 형태를 나타내지만 다시 전체 합창이 하나로 모인다. 이것은 "Oro supplex et acclinis (엎드려 원합니다)"라는 새로운 합일점을 이루면서 노래한다. 정-반-합의 구조를 보인다.

Sequentia - 8. Lacrimosa (눈물과 한탄의 날) D단조: Larghetto

모짜르트 레퀴엠의 애통한 감정의 정점을 이루면서 가장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는 곡이다. SEQUENTIA를 종결짓는 거대한 악상을 준비하다 모짜르트는 숨을 거두게 된다. 비록 쥐스마이어가 보탠 마지막 "Amen"이 이러한 모짜르트의 의도에 100% 도달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분명 훌륭한 음악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다. 곡의 구조는 참으로 단순하지만 그 선율이 품고 있는 아름다움은 이루 형언할 수 없다. 한 번의 상승 후에 서서히 낮아지는 형태는 인간의 궁극적인 삶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듯 하다. 마지막 "Amen"에서는 더욱 가슴을 파고드는 감격이 있다.

Offertorium - 9. Domine Jesu (주 예수 그리스도님) G단조: Andante con moto

"영광의 왕, 주 예수 그리스도"라는 내용과 함께 시작된다. 텍스트의 4번째 줄인, "사자(lion)의 입에서 해방하소서"부터 단순하게 외치는 "de ore leonis"에 대해서 "ne absorbeat (그들을 지옥에 보내지 않는다)"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 그 후 "주님께서 전에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바와 같이"가 경쾌한 음을 바탕으로 계속 반복되면서 진행된다.

Offertorium - 10. Hostias Hostias (주님께 바칩니다) Eb장조: Andante - Andante con moto

앞 곡은 상당히 폴리포닉한 구조인 반면 이 곡에서는 단순한 호모포니로 진행된다. 곡 전반이 상당히 부드럽지만 마지막 부분에서는 다시 앞의 "도미네 예수"에서 불리워졌던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바와 같이"가 다시 반복되어 나타난다. 그 후 곡은 나지막하게 끝맺는다.

11. Sanctus  (거룩하시다) D장조: Adagio - Allegro

포르테의 투티로 힘차게 "Sanctus"가 시작된다. 이 부분은 "Dies irae"의 진행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악보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후 "Hosanna"부터는 다시 Allegro로 바뀌면서 더욱 활기를 찾는다.

12. Benedictus (주님의 축북있으라) Bb장조: Andante - Allegro

바이올린의 선율을 출발로 앨토의 독창이 시작된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이 독창 4부에 의해서 충분히 노래된다. 그 뒤 끝 부분에서는 다시 "Sanctus"의 마지막 "Hosanna" 부분을 도입해서 장엄한 분위기를 고조시키면서 끝맺는다. 이 부분이 바이어 판본에서는 쥐스마이어 판본과는 다르게 처리되어 있어 쉽게 알 수 있다.

13. Agnus Dei (하느님의 어린 양) D단조: Adagio, Allegro - Adagio

팀파니의 울림과 현의 울림이 섞여진 사이에 서서히 합창이 시작된다. 죽은 자의 평안한 안식을 기원하는 내용의 가사인 만큼 매우 경건한 분위기이다. "영원한"이라는 "sempiternam"이라는 마지막 끝맺음을 이어서 코무니오가 연결된다. 전체적인 구성이 호모포니로 진행되면 매우 간결하면서 일관된 분위기를 이끌어낸다.

14. Communio: Lux aeterna  (그들에게 영원한 빛을 내리소서)

이 곡은 처음의 인트로이투스의 제 19 마디 이후 끝까지와 키리에 전체 음표에 "Lux aeternam luceat eis (영원한 광영을 그들 위에 빛내 주소서)"로 시작되는 COMMUNIO 전문을 인용하여 완성하고 있다. 이는 모짜르트의 지시에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뿐만 아니라 가사 자체가 비슷하기 때문이라도 처음 부분과 비슷하게 됨으로 인해서 얻는 점이 많다. 처음과 끝이 같으므로 인해서 구성 자체가 동질성이나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다. 마지막은 Kyrie처럼 Adagio로 템포를 늦추면서 장엄하게 끝맺는다.

     

     

모짜르트의 불행한 생애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레퀴엠은 극적인 에피소우드를 수반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레퀴엠이란 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한 곡인데, 모짜르트의 죽음 직전 무명의 사자(使者)가 찾아와 이 곡의 작곡을 의뢰했다고 한다. 모짜르트는 그것을 죽음을 알리는 사자라 믿어버리고 자신의 명복을 비는 레퀴엠이라고 생각하여 통곡하면서 작곡했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모르지만, 모짜르트는 이 곡의 라크리모사의 장(章)에서 미완성인 채 죽었다. 그래서 제자 쥐스마이어가 그 뒤 부분을 써서, 모짜르트의 명복을 빌기위해 1793년 12월 14일 빈에서 연주되었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원고의 어디서부터 쥐스마이어가 덧붙여서 썼는지, 필적이나 악곡이 모짜르트의 그것과 전혀 다르지가 않아 의문시되었다. 그러나 그 후 밝혀진 바로는 제1장과 제2장을 모짜르트가 쓰고, 이하 제6장 라크리모사의 제8마디에서 원고는 끊겼으며, 주 예수 그리스도·희생의 2장은 주요 부분을 써서 남겼으므로, 마지막 3장과 함께 쥐스마이어가 완성했다고 한다.

글 출처: 인터넷에서...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