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미터.
사람들의 일반적인 스케일이죠. 10월의 따뜻한 날 한 남자가 공원에서 낮잠을 자고 있습니다. 그의 곁에는 여러가지 물건들이 있군요. 이 사진의 작은 사각형 안의 공간이 다음 사진 내용이 되는 겁니다.
`인간은 모든 것의 척도이다.` 소피스트였던 프로타고라스의 말을 인용하며, 인간에서부터 시작해봅니다.
이 그림을 잘 기억해주세요. |
10센티미터.
더 조밀한 비율입니다. 이 사진은 손등을 조금 확대해서 보여준 그림입니다. |
1센티미터.
손등의 그림을 더 확대한 모습이죠. 손등의 주름은 그만큼 손이 유연성이 있다는걸 의미한답니다. |
0.1 센티미터(1밀리미터)
살 아래엔 작은 혈관이 흐르겠죠? |
0.1밀리미터.
머나먼 별이 익숙하지 않은 것처럼, 우리의 몸이라고 해도 이렇게 확대된 부분은 익숙하지가 않군요. |
1마이크로미터.
세포의 핵으로 들어가는 겁니다. |
1000 옹스트롬. (0.1마이크로미터 , 0.0000001미터).
기다란 분자 구조가 얽히고 섥혀서 세밀한 DNA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DNA구조는 모든 세포 내의 핵에 존재합니다. |
100 옹스트롬.
DNA의 2중 나선 구조지요. |
1 옹스트롬
원자 단위의 스케일입니다. 핵 주변으로의 전자 구름이 보입니다. |
1 피코미터 (0.000000000001미터)
원자의 핵. |
0.01 피코미터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는 원자의 핵 입니다. |
0.001 피코미터
현대 물리학에서 최근에 탐구하기 시작한 양성자의 안쪽 부분이지요. |
0.0001 피코미터
더 확대해보면 무엇이 있을까요... |
다시 시작합시다.
다시 인간으로부터 다시 시작해봅시다. |
10미터.
남자와 여자가 같이 공원에 소풍을 온 그림이죠. |
10킬로미터.
도시의 중심도 보이고, 여러가지가 보이는군요. 모든것이 나타납니다. |
100킬로미터.
시카고의 거대도시 영역입니다. 더불어 호수의 끝이죠. |
1000킬로미터.
상공의 낮은 궤도에서 관찰한 모습입니다. 1000만이 넘는 사람들의 거주지가 보이지요. |
만 킬로미터.
푸른 하늘과 하얀 구름, 어두운 바다. 갈색의 땅. 동쪽으로 도는 지구. 1967년이 되서야 인간은 지구를 지구 밖에서 관찰할 수 있게 되었지요. |
1000만 킬로미터.
지구가 태양을 도는 궤도입니다. |
1억 킬로미터.
다른 행성들의 궤도도 보이는군요. |
10억 킬로미터. (~7AU)
태양계입니다. 다른 행성들은 잘 보이지 않지만 태양 하나는 참 잘 보이네요. 멀리 목성이 궤도가 보입니다. |
100억 킬로미터.
태양계 행성들 보일건 다 보입니다. |
1000억 킬로미터.
태양도 작게 보이는군요. |
10조 킬로미터 (대략 1광년)
빛이 1년을 여행해야 갈 수 있다는 거리인 1광년입니다. |
1만 광년
커다란 별들도 전체적으로 봤을땐 작은 입자같군요.. 하나의 구름처럼 된 듯한 모양입니다. |
1000만광년(3메가 파섹)
그렇게 거대한 은하도 하나의 점으로... |
10억 광년
대부분의 공간이 이렇게 비어있는것처럼 보입니다.. 더 먼 공간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출처: 영혼과 과학의 만남 |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