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앨범: 시벨리우스: 낭송, 합창, 관현악을 위한 《Snöfrid》 - Osmo Vänskä, cond (2004 BIS)

리차드 강 2013. 4. 15. 17:16

Snöfrid (Cantatas and Orchestral Works)

시벨리우스: 낭송, 합창, 관현악을 위한 《Snöfrid》

Jean Sibelius (1865 - 1957 Finland)

1. Snöfrid - Track 전곡 연주

Album Title: Sibelius: Snöfrid (Cantatas and Orchestral Works)

Composer: Jean Sibelius
Lyricist(s): Samuel Gustaf Bergh, Paavo Cajander, Rydberg, Viktor
Conductor: Osmo Vänskä
Performer: Stina Ekblad (narrator)
                  Jaakko Kuusisto (Leader, Violin)
                  Ilkka Palli (Cello)
Choir/Chorus: The Jubilate Choir
Choir Director: Astrid Riska
Orchestra: Lahti Symphony Orchestra
Audio CD (28 Aug 2004)
SPARS Code: DDD
Number of Discs: 1
Format: CD
Mono/Stereo: Stereo
SPAR Code: n/a
Recorded 2001-2003
Label: BIS
Copyright: (C) 2004 BIS
Total Length: 1:15:13
Genres: Classical, Cantata, Choral - Secular. Orchestral
Periods: Romantic, 20th Century
Styles: Orchestral, Choral

     

     

1. Snöfrid, improvisation for reciter, male voices & orchestra, Op. 29   (14:28)
   Composer   Jean Sibelius (1865 - 1957 Finland)
   Lyricist   Viktor Rydberg
   Conductor   Osmo Vänskä
   Performer   Stina Ekblad (Narrator)
   Choir/Chorus   The Jubilate Choir
   Choirmaster   Astrid Riska
   Orchestra   Lahti Symphony Orchestra
   Period   Romantic
   Written   ?1900; Finland
   Country   Finland
   Studio/Live   Studio
   Recorded   2001


2. Overture for orchestra in A minor, JS 144   (9:28)
   Composer   Jean Sibelius & Andrew Barnett
   Conductor   Osmo Vänskä
   Orchestra   Lahti Symphony Orchestra
   Period   Romantic
   Written   1902; Finland
   Country   Finland
   Studio/Live   Studio
   Recorded   2002


3-4. Cantata for the Coronation of Nicholas II, for chorus & orchestra, JS 104
   Composer   Jean Sibelius
   Lyricist   Paavo Cajander
   Conductor   Osmo Vänskä
   Ensemble   Jubilate Choir
   Choirmaster   Astrid Riska
   Orchestra   Lahti Symphony Orchestra
   Period   Romantic
   Written   1896; Finland
   Country   Finland
   Studio/Live   Studio
   Recorded   2001

3. Ⅰ. Allegro: Terve nuori ruhtinas (Hail young prince)   (8:33)
4. Ⅱ. Allegro: Oikeuden varmasa turvassa (In the sure security of justice)   (9:58)


5-7. Rakastava (The Lover), suite for string orchestra, Triangle & Timpani, Op. 14
   Composer   Jean Sibelius
   Conductor   Osmo Vänskä
   Performer   Jaakko Kuusisto (violin)
               Ilkka Palli (cello)
   Orchestra/Ensemble   Lahti Symphony Orchestra
   Period   Romantic
   Written   1911-1912; Finland
   Country   Finland
   Studio/Live   Studio
   Recorded   2002
   Note   Published orchestral version for string orchestra & percussion

5. Ⅰ. Rakastava (The Lover): Andante con moto   (4:11)
6. Ⅱ. Rakastetun tie (The Path of the Beloved): Allegretto   (2:31)
7. Ⅲ. Hyvää iltaa. Jää hyvästi (Good Night... Farewell!): Andantino - Doppio più lento - Lento assai   (5:54)


8. Our Native Land (Oma maa: My Own Land), cantata for chorus & orchestra, Op. 92   (13:37)
   Composer   Jean Sibelius
   Lyricist   Samuel Gustaf Bergh
   Conductor   Osmo Vänskä
   Ensemble   Jubilate Choir
   Orchestra   Lahti Symphony Orchestra
   Period   Romantic
   Written   1918; Finland
   Country   Finland
   Studio/Live   Studio
   Recorded   2001


9. Andante festivo for Strings orchestra & Timpani, JS 34b   (5:10)
   Composer   Jean Sibelius & Andrew Barnett
   Conductor   Osmo Vänskä
   Orchestra/Ensemble   Lahti Symphony Orchestra
   Period   Romantic
   Written   Finland
   Country   Finland
   Studio/Live   Studio
   Recorded   2003
   Value   arranged from string quartet version
   Notes   Composition written: Finland (1922). Composition revised: Finland (1938).

 

     

     

Review

Sibelius’s reputation as a master of the orchestra is well founded, but it was with a work that requires not only an orchestra but also soloists and choir – Kullervo – that he made his definitive breakthrough in 1892. He went on to write pieces for choir and orchestra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his … Show entire textcareer. Some of these – though internationally less than well-known – exhibit first-rate invention and craftsmanship; these ‘tone poems with words’ can easily stand comparison with his better-known music. one such work is Snöfrid, an ‘improvisation’ for speaker, mixed chorus and orchestra set to texts by the Swedish poet Viktor Rydberg, one of Sibelius’s preferred authors. Indeed Snöfrid reveals striking parallels in both structure and narrative with another Rydberg setting, namely The Wood-Nymph.

Another work in this category is the cantata Oma maa (My Own Land) for mixed chorus and orchestra. Undertaken by the composer during a difficult chapter in Finland’s history – the civil war which broke out shortly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1917 – the underlying character of the work is one of serenity and optimism – so far removed from the upheavals of the civil war that, with hindsight, it is easy to interpret the work as portending – or at least aspiring towards – a more peaceful future.

Three of the scores recorded on this CD include choir, and a fourth one is actually Sibelius’s own version for string orchestra of a work originally written for male choir a cappella. The reworking of Rakastava (which translates approximately as ‘The Lover’) retains the thematic material of the choral original, but the very idiomatic and rhythmically subtle string writing is wholly characteristic of the mature composer. The third movement features a solo violin and cello, assuming the rôles that vocal soloists had performed in the choral version of the suite.

This 54th volume in the BIS Sibelius Edition again depends on the expertise, and the commitment, of Osmo Vänskä and his Lahti Symphony Orchestra, in bringing these often unfamiliar scores to a wider audience.Hide

     

     

The music of Snöfrid, a major work for orchestra, narrator, and chorus, strongly resembles that of The Wood-Nymph. Given its date of composition (1900) it comes straight out of Sibelius’ early maturity, and much as I normally detest any music for narrator and orchestra, this is powerful stuff that does not deserve to be neglected. The same holds true of the cantata Oma Maa (My Country), though the Coronation Cantata of 1896, pleasant enough, is more of an occasional work. All three are very well performed by the Lahti Symphony Orchestra under Osmo Vänskä, as we have come to expect. The Jubilate Choir, while not as polished as some, has the right enthusiasm and the populist touch that the music ideally demands. It isn’t a large body, and this actually seems to work to the music’s advantage, allowing orchestral detail to register naturally and keeping each work from sounding over-inflated. on the other hand, there’s certainly no question of timid or tepid performances. There have been other good recordings of Sibelius’ works for chorus and orchestra, not least from Paavo Berglund, but these equal or surpass the competition in just about any area you care to name.

As for the orchestral works, the performances are just as fine. The Andante Festivo, not a major work in any case, sounds unusually gripping in this taut interpretation, while Rakastava (“The Lover”) is tuneful and charming, if not much more. The real treat here is the Overture in A minor, another mature work (1902) full of arresting writing for the brass section and a central allegro that, in its pastoral freshness, could have come from the pen of no other composer. Fans of Sibelius who don’t know this piece will find much to savor–and again, this is as fine a performance as it has ever received. Indeed, the entire package is unusually interesting and uniformly desirable, which is unusual given the wide-ranging variety of music on offer. Sonically this is as fine as anything BIS has given us from Lahti, which is to say that it’s on par with the best the industry has to offer. If you are looking to extend your Sibelius collection beyond the best-known symphonies and tone poems, this extremely enjoyable disc should command your immediate attention. [12/1/2004]

     

     

시벨리우스(Johan Sibelius, 작곡가, 1965-1957)

본명(Johan Julius Christian Sibelius)과는 달리 얀 시벨리우스로 불려지는 이 작곡가는 핀란드의 헤멘린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순수 핀란드 사람으로서 외과 의사였는데 시벨리우스가 태어난지 2년 8개월 후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는 스웨덴과 핀란드의 혼혈이었으나 집안의 관습이 전부 스웨덴식이었고 언어도 스웨덴어를 사용했기에 시벨리우스는 8세가 되어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까지 핀란드어를 제대로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얀 시벨리우스의 본명은 요한 율리우스 크리스챤 시벨리우스였다. 그런데 선원이었던 백부가 얀이란 이름이었는데 그 이름이 멋있다고 생각되어 백부의 이름을 따 얀 시벨리우스로 개명했다. 또한 본명도 순 핀란드식은 아니고 그리스계 이름이었다고 하니 시벨리우스에게는 그리스의 피도 흐르고 있는 셈이다.

9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고, 15세 때 바이올린과 작곡법을 배워 이 무렵부터 점차 음악적 재능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가족들은 음악가가 되려는 그의 희망을 반대하여 1885년 헬싱키대학에 입학, 법률을 전공하는 사이사이 헬싱키음악원에서 베겔리우스에게 음악이론과 작곡을 배웠다. 결국은 본격적으로 음악을 전공하기 위하여 헬싱키대학을 중퇴하고 당시 음악원 교수로 있던 명피아니스트 부조니에게 사사하였다.

시벨리우스는 본래 바이올리니스트가 될 뜻을 품었으나 무대에만 올라서면 긴장하고 떠는 성격 때문에 연주가를 단념할만큼 내성적인 성격이라고 알려져 있다. 교내 연주회에서 청중을 앞에 놓고 몸이 빳빳이 굳어 버리는 통에 산산조각이 났다는 것이다.

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정부의 장학금을 받아 베를린(1889년)과 빈(1890년)에 유학하고, 빈에서는 브람스를 만나 그가 쓴 가곡에 대해 호의적인 평을 받았다.

민족적인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통속적인 유행이나 묘사에 빠지지 않고, 전통적으로 유럽 스타일의 이성적인  묘사로 처리한 그의 작풍 경향은 유학시절에 쌓은 지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892년, 모교 헬싱키음악원의 작곡과 바이올린교수가 되고, 창작에서는 국민적 대서사시 '카레왈라, Kalevala'에 의한 교향시 '크레르보' '전설', 모음곡 '카레왈라' 등으로 국외에서도 알려지게 되었다. 이어 '투오넬라의 백조'를 비롯한 '4개의 전설', 교향시 '핀란디아', 제1교향곡 등으로 명성을 얻고 1897년에는 국가에서 종신 연금을 주기로 하여 작곡에만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

1899년 시벨리우스의 나이 34세 때 초연된 유명한 교향시 <핀란디아>는 당시 러시아의 압제하에 시달리던 그의 조국 핀란드의 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목적으로 작곡되었다. 그래서 러시아 관헌에 의하여 국내 연주가 금지된 일까지 있었다.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아감에 따라 국외 연주여행도 많아졌으나, 제2교향곡을 완성한 1902년 전후부터 4년간은 귓병으로 고생을 하고 1904년에는 헬싱키 교외의 별장으로 옮겨 여기에서 죽을 때까지 반 은둔생활을 하였다.

시벨리우스는 1904년에 헬싱키의 북쪽 약 30km의 야르벤파에 거처를 정하고 죽을 때까지 반세기 이상 나무에 둘러싸인 집에서 살았다. 이 시기에는 유명한 바이올린 협주곡 op. 47(1903, 개정 1905), 부수음악 '죽음 op. 44'(여기서 그 유명한 슬픈 왈츠가 발췌된다), 그리고 부수음악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op. 46'(1905)이 만들어지게 되며, 야르벤파의 정착은 양식의 새로운 단계의 시작을 보여주었다. 이 새로운 양식은 전보다 보편적이고 더 응축된 동시에 고전적이며, 특히 교향시 '포욜라의 딸 op. 49'(1906)과 '밤의 기행과 일출 op. 55'(1907), 또 시벨리우스의 성숙기의 대표작인 교향곡 제3번 C장조 op. 52(190407)에 의해서 그 특징이 제시되었다. 1909년 영국의 네 번째 여행 때 현악4중주곡 '친애하는 음성 op. 56'이 완성되었는데 이 곡이 이 작곡가의 유일한 대규모적인 실내악곡이다.

러시아혁명 후인 1917년 12월 6일, 핀란드는 독립을 선언하였고 그 후에는 1918년 4월까지 내전이 계속되었다. 시벨리우스는 야르벤파를 떠나 헬싱키에 있는 동생이 경영하는 정신병원으로 피난을 가야만 했다. 평화가 돌아오자 그는 여행과 연주여행을 계속하여 부조니와의 마지막 만남이 된 영국(1921), 노르웨이와 스웨덴(1923), 스웨덴(1924), 이탈리아(1924, 1926) 등지를 여행했다. 이 마지막 시기의 중요한 작품으로는 교향곡 제6번 op. 104(공식적으로는 d단조, 1923), 교향곡 제7번 C장조 op. 105(초연 1924, 앞의 6개의 교향곡처럼 헬싱키에서 초연하지 않고 스톡홀름에서 초연), 셰익스피어에 기초한 부수음악 '템페스트 op. 109'(1925~26) 교향시 '타피올라 op. 112'(1926) 등이 있다.

1924년, 제7교향곡, 이듬해의 교향시 '타피올라' 이후는 거의 작품이 없고, 말년의 30년간을 침묵 속에서 지냈다. 교향곡 제8번을 작곡하기 시작하여 1932년부터 1933년까지는 순조롭게 작곡을 계속했으나 그 후에는 포기했다. 어쩌면 핀란드의 어딘가에 작품이 묻혀 있을런지 모르지만 거의 가능성이 없는 이야기이고 이런 풍설은 언제나 부인되어 왔다. 그리고 1930년대에 이르자 앵글로 색슨계의 나라들에서 시벨리우스의 큰 명성과 위신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대를 특징짓는 것은 세실 그레이 Cecil Gray(시벨리우스 Sibelius[1931 런던])와 콘스탄트 램버트 Constant Lambert(자! 음악이다 Musik Ho![1934 런던]) 및 1938년에 토머스 비첨 경에 의해서 조직된 그의 시벨리우스 작품 축제이다. 시벨리우스 자신이 마지막으로 조국을 떠난 것은 1931년의 일인데, 교향곡 제8번에 관한 작업을 위해서 베를린에 갔을 것이다. 그 후에는 1938년의 런던 음악제와 1947년의 에딘버러 음악제의 초대에도 응하지 않았다.

1939년 1월 1일 그는 은신처를 나와서 1922년에 작곡한 축제풍 안단테를 뉴욕의 만국박람회를 위해서 헬싱키의 라디오 방송에서 지휘한 것 외에는 미국으로 초빙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중 결코 야르벤파를 떠난 적이 없었다. 그는 사위인 지휘자 유시 얄라스(Jussi Jalas)에게 셰익스피어의 '왕들의 밤에 의한 2개의 노래 op. 60'(1905)의 제1곡 '죽음이여 다가오지 마라, Komnu hit, dod!'를 위한 현악오케스트라에 의한 반주곡을 구술 필기시킨 몇 주일 후에 사망했다.

얀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1865∼1957)는 말할나위 없이 핀란드가 자기들의 국보로 자랑하는 세계적 작곡가이다. 92년이란 긴 생애 동안 생전에 국내외에서 그만큼 많은 칭송을 받으면서 지낸 음악가도 드물지만, 그러나 사망 직후에 한때 그에 대한 평가가 급속도로 떨어진 일도 있다.

생애의 약 3분의 2를 20세기에 살면서도 금세기 창작의 새로운 사조인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을 주축으로 한 이른바 현대음악이 세를 떨치는데도 여전히 19세기 낭만파의 기반 위에서 작곡했던 시벨리우스를 구세대의 유물처럼 보는 시각이 그를 비하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년에 이르러, 특히 교향곡에서 그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면서 시벨리우스라는 이름이 다시 빛을 발하느 느낌이다.

실제로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그의 스케일은 크고, 리듬은 열정적이고, 멜로디는 아름답고 편안하며, 관현악법은 아주 개성적이다. 처음엔 전통적인 절대음악에 기초를 둔 작품을 썼지만 차츰 조국 핀란드의 토양에 맞는 음악을 쓰기 시작하여 덴마크의 닐센, 노르웨이의 그리그와 더불어 국민악파의 거봉을 이루는 존재가 되었다.

핀란드의 국토는 무수한 호수와 늪, 울창한 숲, 아름다운 하늘, 그리고 백야 등으로 대변된다. 따라서 이 나라엔 무수한 신화와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시벨리우스는 바로 그러한 자기 조국의 강산과 이야기를 주요 음악의 소재로 삼아서 그만의 독특한 세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 주요 작품들
** 작품 번호가 있는 작품

▶5곡의 크리스마스 노래 op. 1[피아노 반주가 있는](1895~1913)
▶2개의 소품 op. 2[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888, 개정 1912)
▶아리오소 Arioso op. 3[노래와 피아노 또는 오케스트라를 위한](1893, 개정
1913)
▶현악4중주곡 B♭장조 op. 4(1889)
▶6개의 즉흥곡 6 Impromptus op. 5[피아노를 위한](1893)
▶카사치오네 Cassazione op. 6[오케스트라를 위한](1895)
▶쿨레르보 Kullervo op. 7[소프라노, 바리톤, 남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
한 교향시(교향곡)](1892)
▶외들란 odlan op. 8[미카엘 류벡 Mykael Lybeck의 "외들란"을 위한 부수음
악](1909)
▶전설 En Saga op. 9[교향시](1892, 개정 1901)
▶서곡 "카렐리아 Karelia" op. 10(1893)
▶오케스트라 모음곡 "카렐리아 Kareila" op. 11(1893)
▶피아노 소나타 F장조 op. 12(1893)
▶7곡의 노래 7 Laulut op. 13[피아노 반주가 있는, 가사 루네베리](1891~92)
▶애인 Rakastava op. 14[남성 합창곡을 위한(1893);현악 오케스트라, 팀파
니, 그리고 트라이앵글을 위한 판(1911)]
▶숲의 정 Skogsraet op. 15[멜로드라마](1894)
▶봄의 노래 Varsang op. 16[교향시](1895)
▶7곡의 노래 op. 17(1894~99)
▶9곡의 파트송 9 Partsong op. 18[남성 합창을 위한](1893~1901)
▶즉흥곡 Impromptu op. 13[여성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1902, 개정
1910)
▶멜린코니아 Melinconia op. 20[첼로와 피아노를 위한](1901)
▶고통스러운 세상에 태어나 Natus in curas op. 21[남성 합창을 위한]
(1896)
▶렘민케이넨 모음곡 Lemminkaissarija op. 22
    [렘민케이넨과 섬의 처녀들 Lemminkainen ja saaren neidot(1895;개정
1897, 1939),
    투오넬라의 백조 Tuonelan joutsen(1893;개정 1897, 1900),
    투오넬라의 렘민케이넨 Lemminkainen Tuo\nelassa(1895;개정 1897,
1939),
    레민케이넨의 귀향 Lemminkainen paluu(1895;개정 1897, 1900)]
▶칸타타 op. 23(1897)
▶10개의 소품 op. 24(1894~1903)
▶역사적 정경 I Scenes historiques I op. 25(1899, 개정 1911)
▶핀란디아 Finlandia op. 26[교향시](1899, 개정 1900)
▶크리스찬 2세 Kuningas Kriotian II op. 28[부수음악](1898)
▶산델스 Sandels op. 28[남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1898, 개정 1915)
▶스뇌프리드 Snofrid op. 29[혼성합창, 낭독, 오케스트라를 위한](1900)
▶울레아 강의 해빙 Islossningen i Ulea alv op. 30[남성 합창, 낭독, 오케스
트라를 위한](1899)
▶3곡의 합창곡 op. 31(1894~1906;개정 1899, 1913)
▶불의 기원 Tulen synty op. 32[바리톤, 남성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1902, 개정 1910)
▶뱃사공의 아내 Koskenlaskijan morsiamet op. 33[바리톤 또는 메조 소프라
노, 그리고 오케스트라를 위한](1897)
▶10개의 소품[피아노를 위한] op. 34(1914~16)
▶2곡의 노래 op. 35(1907)
▶6곡의 노래 op. 36(1899)
▶5곡의 노래 op. 37(1898~1902)
▶5곡의 노래 op. 38(1902~04)
▶교향곡 제1번 e단조 op. 39(1898~99)
▶서정적 명상 Pansees lyriques op. 40[피아노를 위한 10곡](1912~14)
▶킬리키, 3곡의 서정적 소품 Kyllikki, 3 Lyric pieces op. 41[피아노를 위한]
(1904)
▶로망스 C장조 op. 42[현악을 위한](1903)
▶교향곡 제2번 D장조 op. 43(1901~02)
▶죽음 Kuolema op. 44[부수음악, 〈슬픈 왈츠 Valse triste〉를 포함](1903)
▶2곡의 소품 op. 45[오케스트라를 위한:나무의 정 Dryadi(1910), 무도간주곡
Tanssiintermezzo(1907)]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Pelleas et Melisande op. 46[부수음악](1905)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op. 47(1903, 개정 1905)
▶포로가 된 여왕 Vapautettu kunigatar op. 48[혼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
한 발라드](1906)
▶포욜라의 딸 Pohjolas Tochter op. 49[교향시](1906)
▶6개의 노래 op. 50(1906)
▶벨사자르의 향연 Belsazars gastabud op. 51[부수음악](1906)
▶교향곡 제3번 C장조 op. 52(1904~07)
▶판과 에코 Pan and Echo op. 53[오케스트라를 위한 무도 간주곡](1906, 개
정 1909)
▶백조공주 Svanevit op. 54[부수음악](1908)
▶밤의 기행과 일출 oinen ratsastus ja auringonnousu op. 55[교향시]
(1907)
▶현악4중주곡 d단조 "친애하는 음성 Voces intimae" op. 56(1909)
▶8개의 노래 op. 57(1909)
▶10개의 소품 op. 58[피아노를 위한](1909)
▶인 메모리엄 In memoriam op. 59[오케스트라를 위한 장송행진곡](1909)
▶2개의 노래 op. 60(1909)
▶8개의 노래 op. 61(1910)
▶"죽음 Kuolema"을 위한 2개의 소품 op. 62(1911)
▶교향곡 제4번 a단조 op. 63(1910~11)
▶음유시인 Barden op. 64[교향시](1913, 개정 1914)
▶ 2개의 파트송 2 Partsongs op. 65[혼성 합창을 위한](1911~12)
▶역사적 정경 II Scenes historiques II op. 66(1912)
▶3개의 소나티네 op. 67[피아노를 위한](1912)
▶2개의 론디노 2 Rondino op. 68[피아노를 위한](1912)
▶2개의 세레나데 op. 69[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1912~13)
▶대기의 정 Luonnotar op. 70[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시](1913)
▶스카라무슈 Scaramouche op. 71[판토마임을 위한 부수음악](1913)
▶6개의 노래 op. 72(1907~15)
▶대양의 여신 Aallottaret op. 73[교향시](1914)
▶4개의 서정적 소품 4 Lyric pieces op. 74[피아노를 위한](1914)
▶5개의 소품 op. 75[피아노를 위한](1914)
▶13의 소품 op. 76[피아노를 위한](1914)
▶2개의 소품 op. 77[바이올린 또는 첼로 그리고 오케스트라를 위한 :
           찬가 "내마음의 기쁨" Cantique "Laetare anima mea",
           기도 "나의 마음으로부터" Devotion "Ab neo pectore"](1914~15)
▶4개의 소품 op. 78[바이올린 또는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1915~19)
▶6개의 소품 op. 79[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915)
▶소나티네 E장조[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op. 80(1915)
▶5개의 소품 op. 81[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915)
▶교향곡 제5번 E♭장조 op. 82[1915, 개정 1916, 1919]
▶누구든지 Jokamies op. 83[H. 호프만스탈의 누구든지를 위한 부수음악]
(1916)
▶5개의 파트송 op. 84[남성 합창을 위한](1914~15)
▶6개의 노래 op. 86(1916)
▶2개의 유모레스크 2 Humoresques op. 87[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1917)
▶6개의 노래 op. 88(1917)
▶4개의 유모레스크 op. 89[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1917)
▶6개의 노래 op. 90(1917)
▶2개의 행진곡 op. 91(1917)
▶나의 조국 Oma maa op. 92[혼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1918)
▶대지의 노래 Jordens sang op. 93[칸타타](1919)
▶6개의 소품 op. 94[피아노를 위한](1919)
▶대지의 찬가 Maan virsi op. 95[칸타타](1920)
▶3개의 소품 op. 86[오케스트라를 위한](1920)
▶6개의 바가텔 6 Bagatelles op. 97[피아노를 위한](1920)
▶사랑스러운 조곡 Suite mignonne op. 98a[2개의 플루트와 현악을 위한]
(1921)
▶전원모음곡 Suite champetre op. 98b[현악을 위한](1921)
▶8개의 소품 op. 99[피아노를 위한](1922)
▶특징적인 조곡 Suite caracteristique op. 100[하프와 현악을 위한](1922)
▶5개의 낭만적 소품 5 Romantic pieces op. 101[피아노를 위한](1923)
▶노벨레테 Novelette op. 102[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923)
▶5개의 소품 op. 103[피아노를 위한](1924)
▶교향곡 제6번 d단조 op. 104(1923)
▶교향곡 제7번 C장조 op. 105(1924)
▶5개의 전원 무곡 5 Danses champetres op. 106[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
한](1925)
▶찬가 Hymn op. 107[오르간 반주가 있는 합창을 위한](1925)
▶2개의 파트송 op. 108[남성합창을 위한](1925)
▶템페스트 Myrsky[Fin]The Tempest[E] op. 109[부수음악](1925~26)
▶베이노찬가 Vainon virsi op. 110[혼성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1926)
▶2개의 소품 op. 111[오르간을 위한:인트라다 Intrada(1925), 장송의 음악
Surusoitto(1931)]
▶타피올라 Tapiola op. 112[교향시](1926)
▶프리메이슨의 전례음악 Masonic ritual music op. 113[남성 합창, 피아노,
오르간을 위한](1927~46)
▶5개의 스케치 5 Esquisses op. 114[피아노를 위한](1929)
▶4개의 소품 op. 115[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929)
▶3개의 소품 op. 116[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929)

** 작품 번호가 없는 작품

▶물방울 Vattendroppar[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1876)
▶피아노4중주곡 e단조(1881~82)
▶피아노3중주곡 a단조(1881~82)
▶바이올린 소나타 d단조(1881~83)
▶안단티노 Andantino[첼로와 피아노를 위한](1884)
▶현악4중주곡 E♭장조(1885)
▶현악3중주곡 g단조(1885)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f단조(1886)
▶4중주곡 g단조[피아노와 하르모늄이 있는](1887)
▶코르포 트리오 Trio "Korpo"[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1887)
▶안단테 칸타빌레[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1887)
▶로비사 트리오 Trio "Lovisa"[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1888)
▶세레나데(1888)
▶주제와 변주 c#단조 Thema und Variationen[현악4중주를 위한](1888)
▶모음곡 A장조[현악3중주를 위한](1889)
▶현악4중주곡(1889)
▶피아노5중주곡 g단조(1889)
▶피아노4중주곡 C장조(1891)
▶서곡 E장조[오케스트라를 위한](1891)
▶발레의 정경 Ballettikohtaus[오케스트라를 위한](1891)
▶니콜라스 2세의 대관식을 위한 칸타타 Cantata for the coronation of
Nicolas Ⅱ(1896)
▶탑의 소녀 Jungfrun i tornet[오페라](1896)
▶티에라 Tiera[관악기와 타악기를 위한](1898)
▶서곡 a단조[오케스트라를 위한](1902)
▶발레의 정경[오케스트라를 위한](1909)
▶스페인풍 Spagnuolo[피아노를 위한](1913)
▶프리돌린의 광란[남성 합창을 위한](1917)
▶축전풍 안단테 Andante festivo[현악기와 팀파니를 위한](1922)
▶카렐리아의 운명 Karjalan osa[남성 합창과 피아노를 위한 행진곡](1930)

글 출처: 곽근수의 음악이야기

     
     

잘생긴 꾀꼬리 꽃미남 리차드강 어리버리 돈키호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