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는 키리에와 글로리아만 있는 루터교의 짧은 미사를 네 곡 작곡했다. 즉, BWV 233, 234, 235, 236이 그것들이다.모두 칸타타적으로 길게 늘렸고, 이미 있는 다른 곡들로부터 빌려온 곡들이 많다. 키리에는 3부분, 글로리아는 5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사의 일부분으로 남아 있는 곡들이 있다. 쌍투스(BWV 237, 238, 239, 240, 241), 크리스테 엘레이손(BWV 242)이 그것이다.
![](http://bbs.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0340/u90120-22.jpg)
큰 미사(BWV 232, Hohe Messe, 또는 h-Moll Messe, 영어식 B단조 미사).
바흐의 가장 탁월한 작품에 속한다. 이 곡은 오랫동안 단일한 곡으로 작곡된 것으로 믿어왔었다. 그러나 1937(악보출판, 1954)년에 발견된 스멘트(Friedrich Smend)의 원전 연구는 이 작품이 원래 네 가지로 독립되어 작곡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듀르(Alfred Dürr)는 이를 세 단계로 보았으며, 순서적으로 다음과 같다.
①1724년, 쌍투스가 독립된 곡으로 작곡됨.
②1733년, 루터교 미사(키리에, 글로리아)가 작곡됨. 독립된 책으로 묶인 것도 있고, 전체 악보의 제 2권 묶음으로 된 것도 있다.
③1748년경, Symbolum이 작곡됨. 전체총보의 제2권에 기록. 덧붙여서 쌍투스 첨가. <Osanna>로부터 <Dona nobis pacem>이 작곡. 기록된 두 권을 한 권으로 묶음.
바하 시대의 신교미사는 키리에와 글로리아(②)만 허용되었는데, 이 부분은 1733년에 작곡·연주되었고, ③은 카톨릭이었던 드레스덴의 궁정을 위해 작곡된 것이다. 바하의 사후, 아들 칼 필립 에메누엘이 이를 전체로 "카톨릭 미사"라고 지칭하여, 이를 한 작품으로 보게 된 것이다.
이 작품은 19세기 중엽에 바흐 음악을 재발견하고 부흥시키려는 바흐 운동과 함께 되살아난다. 전체가 24곡으로 되어 있으며, 예전적 요구를 넘어서는 거대한 곡이다. 곡의 어려움에서는 비교할 만한 작품이 별로 많지 않다. 그의 폴리포니 기법의 절정을 보여주는 합창들이 대부분이고, 독창 부분의 비중은 비교적 약하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74A6D4E52A61E932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