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gatelle
피아노를 위한 두도막·세도막형식의 소품에 붙이는 명칭. ‘가벼운 작품’이라는 뜻이다. 이 명칭은 F.쿠프랭의 《클라브생 작품》(1717)에 사용된 이래 자주 쓰였으며, 18세기 후반에는 갖가지 곡종(曲種)의 소품집의 표제에 사용되었다. 베토벤의 3개의 바가텔(작품번호 33, 119, 126)은 19세기의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의 시초로 간주되어, 낭만파에서는 서정적인 피아노소품의 뜻으로 쓰였으나, 20세기 초 바르토크의 《피아노를 위한 14개의 바가텔》(1908), 베른의 《현악4중주의 6개의 바가텔》(13) 등에 의해 다시 주목을 끌었다.
베토벤의 피아노 소품 바가텔
'바가텔'이라는 명칭을 베토벤이 무슨 이유에서 썼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재미있는 사실은 슈만의 카니발이나 다비드동맹무곡을 하나하나 떼어 칠 수 없듯 하나의 작품번호 아래 묶인 바가텔들은 조성에의 계획성은 없지만 전체를 치다 보면 그 한곡 한곡이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되도록 한 작품번호 아래의 바가텔은 전곡을 연주하라..! 전곡연주가 힘들만큼 길지도 않음이다, 1분짜리가 수두룩하다. 특히 작품번호 후기쪽의 바가텔들은 그 곡의 내용이나 기술수준이 상당하므로 완전 초보자의 수준에는 맞지 않다.
7개의 바가텔 op.33은 전체적으로 상당히 우아한 분위기를 유지한다. 활기차면서도 사랑스럽고 프레스토라도 전원적이다.
op.119의 11개의 새로운 바가텔은 20여년에 걸쳐 작곡된 것이기 때문에 (특히 변화 깊었던 베토벤의 후기에) 각 곡의 내용에서 상당히 변화를 엿볼 수 있다. 7개의 바가텔에 비해 더더욱 짧게 응축된 곡들에 상당히 연구가치가 있다.
6개의 바가텔은 op.126의 작품들로써 베토벤의 완전 후기에 속하기 때문에 대위법 사용, 변박이나 카덴짜 출현 등의 딴죽(?)에서 볼 때 진짜 흥미로운 곡집이다.
JIRDIN DE BAGATELLE. 향수 -쟈댕드 바가텔
쟝폴 겔랑에 의해 만들어져 1983년 제조 발매된 후로랄계 향수이다.향수의 중요 NOTE는 자스민, 장미, 목련, 치자나무, 오렌지, 월화이며 햇빛과 물. 바로 삶의 생동감이 넘치는 듯한 향이다. 성격이 쾌활하고 생기 있는 자연스럽고 활기찬 여인들을 위한 향수이다. 향수 이름인 바가텔 정원은 700여 종류의 장미를 키우고 있으며 파리 불로뉴 숲 근교에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한때 파리의 젊은 연인들이 장미 향 속에서 즐겨 만나는 명소이기도 하였다.
Fur Elise Bagatelle WoO59
베토벤, 바가텔 - 엘리제를 위하여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 테레제 폰 마르파티를 위해
이 곡은 멜로디가 경쾌하고 비교적 연주가 쉬워, 특히 어린이들이 즐겨 연주하는 깔끔하고 사랑스런 피아노 소품이다. 엘리제가 어떤 여성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베토벤이 그 초고에“테레제의 추억을 위해,1810년 4월27일,L V,Beethoven'이라 쓴 것으로 보아,딩시 베토벤이 연정을 품고 잇던 17살의 여성인 테레제 마르파티가 아닐까하고 추정되며,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치기 위한 곡이었던 만큼 열정과 재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Beethoven Fur Elise A Minor for Piano
Jerry Yoon / Bagatelle WoO59

Parc de Bagatelle,Par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