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베를리오즈 : 환상교향곡 | 音香 클래식

리차드 강 2017. 8. 19. 03:10

Symphonie Fantastique op. 14 in C Major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 다장조 작품 14

Louis-Hector Berlioz (1803∼1869)

2. Valse. Allegro non troppo

 

1. Largo-Allegro agitato e appassionato assai
2. Valse. Allegro non troppo
3. Adagio
4. Allegro non troppo
5. Largetto-Allegro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을 찾는 그를 아랑곳없이 춤에 한창이다. 그러다가 문득 군중 속에서 발견한 애인의 모습 낯선 파트너와 함께 춤추며 인파 속으로 사라지는 안타까움과 깊은 모정이 화려하고 소박한 무도회의 분위기 속에서 고유하게 그려진다.

 

작품해설

베를리오즈의 대표작인 동시에 음악사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 교향곡은 표제적 성격이 농후하며 그의 독창적인 작품 성격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고정악상, 또는 고정관념(id e fixe)이라는 새로운 착상으로 표제음악 분야를 개척했기 때문에 획기적인 것이다. 일찍이 보지 못한 다채로운 관현악법으로 낭만주의의 음악어법을 혁신시켰기 때문에 더욱 가치가 있는 것이다.

베를리오즈는 표제적인 성격을 베토벤의 제9번 교향곡 《환희의 송가》에서 받아들였으며 그는 음악에 소설을 도 입한 최초의 작품을 쓰게 되었던 것이다.

불멸의 여성 스미드슨을 상징하는 일정한 가락을 만들어 각 악장마다 알맞게 배치하고 리듬과 악기만을 변화시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후에 리스트나 바그너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관현악법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베토벤 시대와 같은 2관편성이나 표현의 요구에 따라 기형적이거나 변칙적인 방 법을 대담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 곡의 초연은 1830년 12월 5일 파리음악원의 연주회에서 아브네크의 지휘로 거행되었다.

악기편성과 구성

플루트 2 (하나는 피콜로로 겸함), 오보2 (하나는 잉글리시 혼으로 겸함), 클라리넷 2(하나는 Eb 클라리넷 겸함), 파곳 4, 혼 4, 코넷 2, 트럼펫2, 트롬본3, 튜바2, 팀파니 2 (제3악장에선 4명, 제4, 제5악장에선 2명), 큰북, 심벌즈, 종 (튜뷸러 벨), 하아프 2 , 현5부, 더욱이 제5악장 에서 쓰인 종은 튜뷸러 벨을 사용하는 오케스트라와 지휘자가 많으나 원보에선 종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거기에 따르는 예도 종종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코어에는 종을 사용하는 대신 피아노도 대체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현재는 이 피아노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작품은 '어떤 예술가의 생활 에피소드'라고 하는 2부작 중의 제1부로서 '5부로 된 환상 대교향곡'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참고로 제2부는 서정적 독백극 렐리오, 생에의 복귀' op. 14b(1832년 작)이다

'환상 교향곡'에는 각 악장에 기다렇게 주석까지 써 있었으나 후일 표제만 남기고 삭제되었다고 한다. 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그 부분을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1 악장 : 꿈, 정열 (Revieries Passions)

한 저명한 작가가, "정열의 파도"라는 마음의 병에 걸린 한 젊은 음악가가, 맘속에 그리는 이상적인 인간의 매력을 다 갖춘 여성을 처음 만나, 무서운 사랑에 빠진다고 작자는 상상한다. 왠지 사랑하는 여자의 이미지가 하나의 악상과 결합되어 그의 마음에 들어온다. 그는 그 악상의 정열적인, 그러나 기품이 있고 내성적인 성격이 그녀의 성격과 같다는 것을 감지한다. 이 선율과 그녀의 모습이 이중의 고정개념(악상)으로서 끊임없이 그를 따라다닌다. 이 교향곡의 각 악장에 , 첫 알레그로의 개시의 선율이 나타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우울한 몽상상태에서 , 착란한 정열에 이르기"까지의 경과가, 분노와 질투, 마음의 평안, 눈물, 종교적인 안위가 섞여 제 1악장의 소재가 되어 있다.

극히 긴 코랄의 서주를 가진 소나타 형식의 악장이다. 이 서주에서는 젊은 예술가가 아직 사랑할 애인을 가지기 전의 심정을 나타내는 부분인데, 어딘지 모르게 우울한 가락이 부자연스럽게 연주된다.

주부에서는 플루트와 바이올린이 기풍 있고 당당한 멜로디를 연주하는데, 이 부분은 사랑하는 연인을 나타내는 고 정악상이며, 우아한 기품을 가지고 연주된다. 이와 동시에 설레는 가슴을 나타내는 듯한 리듬의 선율도 들린다. 그리고 플루트와 클라리넷으로 제2주제가 나오지만 이 주제는 가볍게 다루어지고 제1주제인 고정악상만이 자유롭 게 발전한다.

사랑의 격정과 광란이 난무하는 전개부를 거쳐 재현부가 나오며 온화한 종교적인 코다에 유도되어 조용하게 끝을 맺는다.


2 악장 : 무도회 (Un bal)

그 음악가는 자기가 인생의 가장 복잡한 환경 가운데 놓이게 되었음을 알게 된다. 축제의 소용돌이 속에 끼어 들기도 하고 자연미의 평안한 사념에 잠기기도 한다. 그러나 마을에서도 들에서도 어디를 가나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이 그의 앞에 나타나 그의 마음을 괴롭힌다.

이 악장은 작곡자 베를리오즈의 해석에 의하면 화려하고 떠들썩한 축제일의 무도회에서 그는 애인의 모습을 발견 한다.

곡은 왈츠이나 교향곡에 왈츠를 삽입하는 것은 당시로서는 매우 드문 일이었다. 3/4박자의 왈츠는 환상적인 서주에 이어서 시작한다. 현의 리듬을 타고 제1바이올린이 우아한 왈츠의 멜로디를 가 볍게 노래한다. 곡이 클라이맥스에 달했을 때 플루트와 오보에가 연인의 모습을 그려준다.

그러다가 춤추는 연인의 모습은 떠들썩하는 사람들과 함께 자취를 감추고 왈츠의 물결이 밀려온다. 그러다가 문득 나타난 연인의 모습, 이것은 플루트와 호른의 지속음을 배경으로 클라리넷 독주로 나온다.

낯선 사람과 함께 춤추며 사람들 속으로 사라지는 연인의 모습, 안타까운 심정이 화려하고 소란한 무도회의 분위 기 속에 교묘하게 그려지며 흥분된 상태로 곡은 끝난다.


3 악장 : 들 풍경 (Scenc aux champs)

시골에서의 어느날 저녁, 멀리서 두 목동이 부는 목적 소리가 들린다. 이 목가적 이중주, 주위 환경 미풍으로 조용히 살랑이는 나무들의 속삭임, 그가 최근에 발견한 희망의 싹, 이러한 모든 것이 결부되어, 그의 마음을 이상하게 평온하게 하고, 그의 생각을 밝게 물들인다. 그는 스스로의 고독을 다시 생각한다. 그는 이젠 고독을 면하게 될지도 모른다고 기대한다. - 그러나 만약 그녀가 모른다고 배신한다면 - 이 희망과 불안이 뒤섞인 기분, 어두운 예감으로 어지럽혀지는 이러한 행복의 사념이, 아다지오 악장의 주제가 되어있다. 마지막에 목동의 한 사람이 다시 목적을 부는데 상대는 여기에 대답하지 않는다....멀리서 천둥소 리....고독.....정적.....

어느 여름날의 해질 무렵, 들가에서 두 목동이 피리를 불고 있는 것을 듣는다. 산들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들, 또 모정에서 샘솟는 미래에의 밝은 희망, 이 모든 것이 한데 어울려 착잡한 그의 마 음을 가라앉히고 그 환상을 아름답게 물들인다.

그러나 다시 연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의 마음은 그녀가 배신한다면 어떻게 하랴... 하는 불안과 어두운 예감에 싸인다. 이윽고 한 목동이 피리를 부나 딴 목동은 대답하지 않는다. 해는 서쪽에서 기울어지고 멀리서 천둥 소리가 들리며, 마지막에는 고독과 적막만이 남을 뿐이다.

이것은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으나 심리적인 불안과 동요를 잘 묘사하고 있다. 표제적인 내용을 충실하게 지키고 있는 이 악장은 잉글리시 혼과 오보에의 목가풍의 대화로 시작되나 얼마 안되어 비올라의 트레몰로에 의하여 여름날의 저녁 풍경을 그려준다.

전원적인 화창한 주제가 플루트와 제1바이올린에 의하여 고요한 무드를 풍긴다. 이윽고 전원적인 주제를 확대시켜 가면서 희망과 불안에 동요되는 예술가의 마음을 그려준다. 그 뒤에는 바람 소 리, 속삭이는 숲소리, 새소리 등의 자연 묘사가 깔린다. 갑자기 고정악상이 플루트와 오보에의 유니즌으로 나타난다. 연인의 모습에 흔들리는 그의 마음은 반주를 하는 현 악기의 패시지로 표시된다.

그러나 다시 전원의 화창한 가락이 나오고, 목동의 피리는 잉글리시 혼으로 묘사된다. 4개의 팀파니가 멀리서 들려 오는 우렛소리를 그려준다. 이 악장은 베를리오즈가 가장 고심한 사실적인 자연 묘사의 악장이다.


4 악장 : 단두대로의 행진 (Marche au supplice)

그의 사랑이 거절되었음을 확실히 안 작곡가는 아편으로 음독자살을 기도한다. 그러나 치사량에 이르지 못하여, 그는 무서운 환상을 수반한 깊은 잠에 떨어진다. 그는 애인을 죽이고, 사형을 선고 받고, 단두대에 연행되어 자신의 처형을 보는 꿈을 꾼다. 행렬을 , 때로는 음울하고 거칠며, 때로는 당당하고 밝은 행진곡의 소리에 맞추어 행진하고, 무거운 발걸음이 굉장한 시끄러움을 타고 계속된다. 행진 끝에 고정악상을 나타내는 4개의 소절이 사랑의 마지막 추억처럼 다시 나타나는데 오케스트라의 결정적인 일격으로 지워져 버리고 만다.

   


▶ 지휘 : 정명훈
▶ 연주 : Orchestre de I'Opera Bastille

     

젊은 예술가는 연인을 죽이고 사형 선고를 받아서 단두대에 끌려가는 꿈을 꾼다. 그 행진은 음산한 기분에서 광포한 기분으로, 또 장중한 행진에서 밝은 것으로 변하는데, 타악기도 곁들여서 무거 운 발걸음에 이어서 소란한 폭발에 이른다.

그리고 마지막 순간에 연인의 모습이 떠올라 죽음의 충격조차 이기게 한다. 현과 팀파니의 불안한 리듬에 의하여 호른이 장중한 행진곡 선율을 암시하면 잠시 후에 첼로와 베이스 위에 이에 항거하는 가락이 제시되고 파곳이 비웃는 듯이 묘사한다. 죽음의 행진은 점점 힘을 가하여 전합주에 의해 당당하 게 연주되고 절정에 이를 때 소요는 멎고 연인을 상징하는 고정악상이 클라리넷에 의해 밝게 나타난다. 그러나 전합주의 강타는 마침내 그에게 일격을 가한다.


5 악장 : 악마의 축제날 밤의 꿈 - 마녀의 론도

(Songe d'unnuit du Sabbat-Ronde du Sabbat)

그는 그를 매장하기 위해서 모인 무서운 유령, 마술사, 마녀, 그밖에 갖가지 요괴들의 일단이 한 가운데에 있는 그를 본다. 야릇한 소리, 신음, 오싹하는 웃음, 그리고 멀리서 들리는 고함소리에 다른 고함소리가 호응하는 듯하다.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선율이 다시 나타나는데 그것은 그 고귀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잃어버리고 있다. 그것은 이제 야비한 선율에 불고하고, 보잘 것 없는 그로테스크한 것으로 변해 버렸다. 그녀가 이 밤의 향연에 찾아온다. 그녀가 도착하자 환희하는 요괴들의 떠들음....그녀는 악마적인 밤의 향연에 낀다. ... 장례의 종은 "분노의 눈"의 익살광대의 풍자다. 밤의 향연의 윤무. 윤무는 "분노의 눈"과 결합한다.위의 장황한 설명은 다시 개작되어 전체 악장을 아편의 작용에 의해 생긴 괴기한 환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 그 대요를 적어 보면 (병적인 감수성과 격렬한 상상력을 지닌 젊은 예술가가 사랑의 번민으로 절망의 구렁에서 아편 자살을 꾀한다. 그러나 복용량이 적어서 죽음에 이르지 못하고 기괴한 일련의 몽환을 보게 된다. 그 속에서 사랑하는 여인은 하나의 선율로서 나타난다.) 라는 이상 성격적인 것이다.

젊은 예술가는 자기의 장례식에 모인 괴물과 악마들과 함께 마녀의 춤을 구경한다. 그곳에 연인이 나타나나, 전과 달리 정숙한 모습이 아니고 창부로 변하여 나타난다. 이 부분은 이상야릇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음악으로, 곡의 중 심은 마녀의 론도에 의하여 전개된다. 이것이 나오기 전에 몇 개의 부분이 긴 전개에 의하여 진행된다.

곡은 현에 의하여 침울한 가락으로 진행되며, 플루트와 호른에 닭의 울음 소리가 교차된다. 다시 악마들의 도약, 닭 울음 소리가 반복된 다음 팀파니와 큰북의 괴상한 리듬과 트레몰로를 타고 연인의 주제가 클라리넷으로 연주된다.

그리고 악마적인 효과가 있은 다음 휘몰아치듯 악마의 춤이 시작된다. 다시 연인의 주제가 일그러진 모습으로 변주되며 마녀들의 무곡에 휩쓸리고 만다. 절정에 달했던 마녀들의 춤은 가라앉고 곧 이어 성당의 종소리가 울려오며 죽은 자를 위해 비는 <진노의 날>이 두 개의 파곳과 두 개의 튜바에 의해 장중하게 연주된다.

그러나 모여든 악마들은 이 장중한 선율을 두 배나 빠른 속도로 연주하며 농락해 버린다. 마녀의 론도 주제가 다시 현악기로 거듭 나타나지만 확립은 못한다. 얼마 안되어 매우 빠른 론도가 현악에서 시작되며, 발전하여 푸가를 이룬다. 현은 론도의 주제를, 관은 <진노의 날>을 대비시킨다. 그러다가 마침내 함께 한 덩어리가 되어 지옥의 난무하는 클라이맥스가 되어 곡을 끝맺는다.

 

베를리오즈, 루이 헥토르  

Louis-Hector Berlioz   (1803.12.11∼1869.3.8)

프랑스의 작곡가. 남프랑스의 라코트생앙드레 출생. 17세 때까지 가정에서 일반교육을 받고, 그 후 파리에서 글루크의 오페라에 매혹되어 작곡가가 되고자, 르 쉬르에게 사사하였다. 1826년 파리음악원에 입학, 작곡법과 푸가를 공부하고 30년 로마상 콩쿠르의 대상으로 로마에 유학하였다. 그 사이 파리를 방문한 영국 셰익스피어극단의 여배우 해리에트 스미드슨을 짝사랑하여 《환상교향곡:Symphonie fantastique》(1830)을 작곡하게 되었다. 그리고 위고, 리스트, 쇼팽, 힐러, 넬바르, 뒤마(부친) 등과 교유하는 한편, 34년부터는 자작의 연주회와 작곡 등으로 정력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이 시기의 작품에는 독주 비올라에 이탈리아의 추억을 상기시킨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롤드:Harold en Italie》(34) 《레퀴엠:Requiem》(37), 오페라 《벤베누토 첼리니:Benvenuto Cellini》(38), 그리고 독창과 합창이 곁든 극적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Romeo et Juliette》(39) 등이 있다. 그러나 38년 《벤베누토 첼리니》의 상연 실패로 후반생에 어두운 그림자를 남기게 되었다.

파리에서 자작의 활동무대를 잃은 그는, 42년부터 국외로 나가 연주여행을 하게 되었다. 곧 42~43년에는 독일 각지에서 연주를 하면서, 서곡 《로마의 사육제 Le Carnaval romain》(43)를 작곡하였으며, 《근대의 악기법과 관현악법》(44)이라는 저서를 출판하였다. 그러다가 45~46년의 프라하·부다페스트에서의 연주여행이 성공하자, 이에 힘입어 귀국 후 《파우스트의 겁벌(劫罰) La Damnation de Faust》(46)을 완성, 초연하였으나 이 역시 성공하지 못하였다. 47년 러시아와 영국에서 장기 체류할 예정으로 건너갔으나 이듬해 일어난 프랑스혁명(2월혁명)이 걱정되어 귀국하였으며 그의 《회상록》은 이 무렵 영국에서 착수되었다. 50년에는 ‘필하모닉협회’를 결성하여 혁명 후의 파리에서 적극적인 연주활동을 추진하였지만, 이 역시 이듬해에 좌절되어 다시 국외 연주여행을 떠났다.

54년 3부작 오라토리오 《그리스도의 어린 시절:L’Enfance du Christ》이 비로소 파리에서 성공을 거두고, 이듬해 49년에는 완성 이후 연주장소를 얻지 못하였던 대작 《테 데움:Te Deum》이 만국박람회 개막을 축하하여 연주되었으며, 56년에는 프랑스 아카데미회원으로 선출됨으로써 마침내 그는 생활의 안정을 얻었다. 만년에는 2부작 오페라 《트로이 사람:Les Troyens》의 작곡에 열중하였으나, 이 작품을 상연할 기회는 좀처럼 얻을 수 없었으며, 63년 제2부 《카르타고의 트로이 사람:Les Troyens a Carthage》만이 상연되었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희극 《베아트리스와 베네딕트》(62)가 있다. 다년간에 걸친 연주여행은 67∼68년의 러시아 연주회를 끝으로 종지부를 찍고, 지병의 악화로 69년 3월 8일 파리에서 고뇌에 찼던 일생을 마쳤다.

베를리오즈가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프랑스에서 유일한 교향곡 작곡가이었으며 ‘표제음악’이라는 새로운 극적인 관현악곡 스타일을 창시한 데 있다. 그리고 이 음악과 더불어 그의 새로운 ‘관현악법’은 이후의 많은 작곡가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문장에도 뛰어나 바그너와 더불어 명문가로 명성이 높으며, 자서전 《회상록》은 음악가가 쓴 전기문학 분야에서 걸작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아름다운 이웃은 참마음 참이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