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Title: Chopin: The Nocturnes Composer: Frédéric Chopin (1810 - 1849) Performer: Maria-João Pires (Portugal, 23 July 1944 - ) Audio CD (01 October, 1996 ) Number of Discs: 2 Format: 2 × Audio CD, Album Format: DDD Stereo 44 kHz Spars Code: DDD Recorded in: Stereo Country: Germany Label: Deutsche Grammophon Copyright: ℗© 1996 Deutsche Grammophon GmbH, Berlin Total Length: 1:49:13 Genres: Classical, Music, Chamber Music, Keyboard, Recital Style: Romantic, Keyboard
Maria João Pires (Portugal, 23 July 1944 - )
This DG collection of 12 Chopin Nocturnes is taken from the very popular complete set recorded by Maria Joao Pires in 1996, available in America from Decca.Maria João Pires - Chopin · The Nocturnes For many listeners who balk at purchasing the entire set for 30 dollars this makes an excellent, far less expensive option. With the more famous Nocturnes included the Cd makes a great gift or introduction to the composer. I recently reviewed the complete set: Pires' playing throughout is highly melodious and she brings considerable class to each piece. While many superlative performances exist of each of the more well-known Nocturnes, Pires brings to each of the Nocturnes a very high standard of music-making. This is wonderful music, beautifully recorded and played. |
![](https://t1.daumcdn.net/cfile/blog/260CB03458B95D8E09)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183/u90120-0.jpg)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183/u90120-7.jpg)
Composer Frédéric Chopin (1810 - 1849) Performer Maria-João Pires (Piano) Genre Nocturne / Romantic Period Period Romantic Live / Studio Studio Recording Date January 1995 - January 1996 Venue Großer Saal, Musikhochschule, München, Germany
1-3. Nocturnes (3) for piano, B 54/Op. 9, CT. 108-110 (16:44) Common Name Nocturnes 3 For Piano Date Written 1830-1832; Poland 1. Nocturne No. 1 in B flat minor, Op. 9, No.1, CT. 108, "Mumures de la Seine 1" (5:36) 2. Nocturne No. 2 in E flat major, Op. 9, No.2, CT. 109, "Murmures de la Seine 2" (4:29) 3. Nocturne No. 3 in B major, Op. 9, No.3, CT. 110, "Murmures de la Seine 3" (6:39)
4-6. Nocturnes (3) for piano, Op. 15, CT. 111-113 (12:14) Common Name Nocturnes 3 For Piano Date Written 1830-1833 4. Nocturne No. 4 in F major, Op. 15, No. 1, CT. 111, "Les zephyrs 1" (4:21) 5. Nocturne No. 5 in F sharp minor, Op. 15, No. 2, CT. 112, "Les plaintives 1" (3:27) 6. Nocturne No. 6 in G minor, Op. 15, No. 3, CT. 113, "Les zephyrs 3" (4:26)
7-8. Nocturnes (2) for piano, Op. 27, CT. 114-115 (11:48) Common Name Nocturnes 2 For Piano Date Written 1835; Paris, France 7. Nocturne No. 7 in C sharp minor, Op. 27, No. 1, CT. 114, "Les plaintives 1" (5:11) 8. Nocturne No. 8 in D flat major, Op. 27, No. 2, CT. 115, "Les plaintives 2" (6:37)
9-10. Nocturnes (2) for piano, B 106/Op. 32, CT. 116-117 (09:43) Common Name Nocturnes 2 For Piano Date Written 1836-1837; Paris, France 9. Nocturne No. 9 in B major, B 106/Op. 32, No. 1, CT. 116, "Il lamento e la consolazione 1" (4:54) 10. Nocturne No. 10 in A flat major, B 106/Op. 32, No. 2, CT. 117, "Il lamento e la consolazione 2" (4:49)
11-12. Nocturnes (2) for piano, Op. 37, CT. 118-119 (11:44) Common Name Nocturnes 2 For Piano Date Written 1838-1839; Paris, France 11. Nocturne No. 11 in G minor, Op.37, No. 1, CT. 118 (5:47) 12. Nocturne No. 12 in G major, Op.37, No. 2, CT. 119 (5:57)
13-14. Nocturnes (2) for Piano, B 142/Op. 48, CT. 120-121 (14:03) Common Name Nocturnes 2 For Piano Date Written 1841; Paris, France 13. Nocturne No. 13 in C minor, Op. 48, No. 1, CT. 120 (6:45) 14. Nocturne No. 14 in F sharp minor, Op. 48, No. 2, CT. 121 (7:17)
15-16. Nocturnes (2) for piano, B 152/Op. 55, CT. 122-123 (09:36) Common Name Nocturnes 2 For Piano Date Written 1842-1844; Paris, France 15. Nocturne No.15 in F minor, Op. 55, No. 1, CT. 122 (4:40) 16. Nocturne No.15 in E flat major, Op. 55, No. 2, CT. 123 (4:52)
17-18. Nocturnes (2) for Piano, B 161/Op. 62, CT. 124-125 (12:25) Common Name Nocturnes 2 For Piano Date Written 1846; Paris, France 17. Nocturne No.17 in B major, Op. 62, No. 1, CT. 124 (6:27) 18. Nocturne No.18 in E major, Op. 62, No. 2, CT. 125 (5:58)
19. Nocturne for piano No.19 in E minor, B 19/, Op.72, No. 1, KK IV/b (04:08) Common Name Nocturne For Piano Date Written 1827; Poland
20. Nocturne for piano No. 20 in C sharp minor, KK IVa/16, CT. 127 (B. 49), Op.posth. (04:02) Common Name Nocturne For Piano Date Written 1830; Poland Notes The attribution of this composition to Chopin is doubtful.
21. Nocturne for Piano, No. 21 in C minor, KK IVb/8, CT. 128 (B. 108), Op.posth. (02:48) Common Name Nocturne For Piano Catalog No. B 108 Date Written 1847; Paris, France Country Poland
피아노를 위한 녹턴은 원래 영국 작곡가인 존 필드(1782~1837)가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로부터 영향을 받아 창작한 음악장르다. 그는 1812년경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처음으로 녹턴(몇 곡은 로망스로 이름붙여지기도 했다)을 작곡했고, 이후 약 18개의 녹턴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음악 장르는로시니, 벨리니, 도니체티의 벨칸토 오페라를 사랑했던 쇼팽에게 강력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쇼팽은 청년시절부터 만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21개의 녹턴을 꾸준히 작곡했는데, 쇼팽의 녹턴은특유의 자기성찰적인 측면으로 인해 19세기를 지배했던 외향적 비르투오소를 위한 음악과는 거리가 있었다. 또한 이전 시대에 존재했던 이탈리아의 노트르노(Notturno) 형식과도 달랐고, 멘델스존에 의해 창안된 [무언가](Songs withoud Words)와도 다른 독특한 정서를 담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피아노의 발달에 따른 악기의 개량의 덕을 가장 많이 본 음악이 녹턴이라고 할 수 있다. 서스테인 페달로 왼손의 효과를 확장시킬 수 있었고 보다 강력해진 강철 프레임으로 인한 장력의 증대 또한 오른손 멜로디 표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쇼팽은 연주에 있어서 힘이 강하지 않았던 탓에, 리스트와 같은 극적인 연주 효과를 낼 수 없었다. 그대신 쇼팽을 후원했던 플레이엘사의 개량된 피아노는 쇼팽의 섬세한 표현력을 더 정밀하게 재현해내 청중들에게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 신비로운 감성을 담은 밤의 노래 1827년부터 1847년 사이에 작곡된 쇼팽의 19개의 녹턴은 형식에 있어서 존 필드의 그것을 거의 따르고 있다. 단순한 반주와 세련된 선율로 A-B-A’의 가곡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쇼팽은 존 필드의 형식을 그다지 많이 변화시키지는 않았다. A 부분은 항상 멜로디컬하고 리드미컬한 오른손 선율이 지배적으로서 벨칸토적 장식음들이 도드라지며 성악적인 환상과 효과를 배가시킨다. B 부분은 A의 주제와는 다른, 보다 밀도가 높고 긴박한 표현력과 극적인 감수성을 요구한다. A’는 A에 대한 회귀로서 긴장감을 소멸시킴과 동시에 밤이라는 시간대 특유의 무감각함을 상징한다. Op.32-2, Op.72-1, Op.48-2, Op.55-1 등에서 형식적인 변화가 얼핏 보이기는 하지만, 몇몇 부분을 제외한다면 쇼팽의 다른 무곡들, 즉 마주르카나 왈츠에서 사용한 세도막 형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183/u90120-9.jpg)
쇼팽의 녹턴을 통해 밤이 가진 고요함과 고즈넉함에 시적 상상력을 극대화했다. <출처: NGD> |
대범한 주제와 치열한 발전, 구조적인 응집력을 요하는 전개와 제시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소나타 형식과 비교한다면, 무곡에 기반을 둔 세도막 형식은 간결하고 율동적이며 상징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쇼팽의 시적 상상력의 표본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새롭고 신비로운 감정이 풍부하게 담겨 있는 녹턴은 그 길이가 짧은 만큼 듣는 이의 내면을 더욱 강렬하게 흔들어놓으며 낭만주의 시대 음악을 대표하는 최고의 아이콘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렇듯 풍부한 상상력과 무언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녹턴은, 쇼팽 사후 가브리엘 포레를 비롯한 일군의 프랑스 작곡가들, 더 나아가 러시아의 스크리아빈이나 보로딘에게도 영향을 준다. 녹턴 연주사에 있어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쇼팽의 제자로서 폴란드를 대표하는 쇼팽 스페셜리스트인 피아니스트 칼 미쿨리의 제자들, 즉 모리츠 로젠탈이나 라울 콕찰스키의 연주를 들어보면 현대에는 기피하는 즉흥적인 장식음을 추가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절대로 같은 곡을 같은 방식으로 연주하지 않았다는 쇼팽의 음악 철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들은 쇼팽의 후기보다는 전기 작품 연주에 이런 연주법을 적절히 용했다. 물론 템포 루바토와 양손을 어긋나게 연주하여 낭만적인 정취를 고조시키는 연주법 또한 적극 사용하여 녹턴의 서정성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도 했다.
시적 감수성으로 세련된 깊이에 도달하다 1830년부터 31년 사이에 작곡된 녹턴 Op.9는 총 3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쇼팽에게 있어서 처음으로 출판된 녹턴이다. 이 곡에서부터 작곡가 쇼팽은 자신만의 강한 개성을 보여준다. 특히 Op.9의 3번 B부분에서의 쇼팽만의 독창적인 표현력, Op.9-2의 아름다움은 많은 사람들에게 커다란 감동을 준다. 특히 Op.9-2는 쇼팽의 녹턴을 대표하는 명곡으로 영화와 TV를 비롯한 수많은 미디어에서 사랑받고 있는 곡이다. Op.15-3은 1830년부터 33년 사이에 작곡된 것으로서 단순한 살롱풍의 음악을 뛰어넘는 깊이감과 세련미를 자랑한다. 특히 2번의 형식적인 불균형함과 3번의 왈츠풍의 3박자는 기존의 통념적인 녹턴에서 벗어나고 있는 쇼팽의 독창성을 대변해 준다. 1834년부터 35년 사이에 작곡된 Op.27은 두 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1번 C 샤프 단조의 어둡고 불가사의한 매력과 2번 D플랫 단조의 영롱하면서 유혹적인 아름다움은 마치 바흐의 프렐류드와 푸가를 연상시킬 정도의 미니어쳐적인 형식적 대비의 극치를 보여준다. A와 B 주제가 세 번에 걸쳐 등장하는 파격적인 형식미는 말할 것도 없고,Op.27-2가 갖고 있는 멜로디의 아름다움은 그 하나만으로도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명곡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Op.32(1836-1837)와 Op.37(1838-1839) 역시 두 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평범한 느낌의 녹턴이지만, Op.48의 1번은 서사적인 동시에 드라마틱한 음악 양식의 절정을 보여주며 쇼팽의 발라드나 피아노 협주곡을 능가하는 기교와 장대함이 펼쳐진다. Op.48의 2번은 열정적인 B 부분 이후에 휴식처럼 재현부가 나타나는 형식적인 특이함을 가지고 있다.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183/u90120-10.jpg)
밤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그려낸 녹턴. <출처: NGD> |
Op.55의 1번은 론도 형식의 변형으로서 투명한 주제가 네 번 반복한 다음 먀채 F장조 환상곡에서 시도한 것과 같은 화성의 변화가 비약적으로 전개된다. 2번은 쇼팽이 존경해 마지 않았던 바흐와 모차르트를 연상시키는 대위법적 성향이 드러나며 세련미와 지성미를 한껏 고조시키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43년에 작곡된 이 두 개의 녹턴은 모두 벨칸토적인 아름다움이 한껏 돋보이는 곡이다. 녹턴에 있어서 가장 마지막에 작곡된 1845년에 창작된 Op.62의 1번과 2번은 풍부한 서정성과 독창적인 표현력, 주제들의 조화로운 대화가 돋보이는 녹턴이다. 멜랑콜리의 극치를 보여주는 유작 녹턴인 Op.72의 1번(장송 행진곡 C단조와 3개의 에코세이즈와 함께 Op.72로 묶여 쇼팽 사후 출판되었다)은 1827년에 작곡된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최근에는 이보다는 훨씬 후기에 작곡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보통 녹턴 20번으로 불리는 유작 녹턴 C샤프 단조는 쇼팽이 청년기 시절에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진 곡으로 1895년에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그 독특한 아름다움과 섬세한 분위기가 듣는 이를 압도하는 이 곡은 영화 [피아니스트]에서 사용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는 녹턴이다. 그러나 정작 왼손과 오른손의 다른 박자에서 기인하는 어려움과 유명세로 인해 바이올린 소품으로도 편곡되어 자주 연주되기도 한다. 오랜동안 잊혀져 있던 녹턴 21번 역시 유작으로서 1938년 바르샤바에서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작곡연대는 1830년 혹은 25년이나 27년 등등 이견이 분분하다.
추천음반 가장 먼저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의 연주를 녹턴에 있어서 부동의 레퍼런스로 손꼽을 수 있다.담백한 터치와 정갈한 분위기로 인해 과장 없는 깊이감을 자아내는 루빈스타인은 20세기 초반부터 쇼팽 스페셜리스트로 유명세를 떨친 탓에 1930년대, 1949~50년, 1965~67년 이렇게 세 번에 걸쳐 녹턴을 녹음했다. 이 가운데 마지막 스테레오 버전(RCA)이 템포나 분위기, 녹음에 있어서 가장 훌륭한 기록으로 평가된다. 프랑스 출신의 상송 프랑수와(EMI) 또한 녹턴에 있어서 최고의 연주를 보여주는데, 그 프랑스적인 에스프리와 즉흥성 넘치는 터치 등등은 폴란드적인 쇼팽 해석과 여러 면에서 좋은 대조를 이룬다. 현대의 연주로는 마우리치오 폴리니의 숨막히는 듯한 긴장감과 구조적 완결성이 돋보이는 연주(DG)와 음색과 분위기에 있어서 최고의 경지를 보여준 넬슨 프레이레의 연주(DECCA)가 유독 돋보인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상송 프랑수아 / 넬슨 프레이레
글 박제성 | 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음악 전문지 <음악동아>,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과 여러 오디오 잡지에 리뷰와 평론을 써 온 음악 칼럼니스트 공연, 방송, 저널활동, 음반리뷰, 음악강좌 등 클래식 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서울문화재단 평가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