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코프스키 이탈리아 기상곡(綺想曲) 작품 45 Peter Il'yich Tchaikovsky (1840-1893, 러시아) Italian Capriccio Op. 45 | |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186/u90120-12_1.jpg)
|
Album Title: Khachaturian: Masquerade Suite / Kabalevsky: The Comedians Composer: Aram Khachaturian, Dmitri Kabalevsky, Peter Ilyich Tchaikovsky, Nikolai Rimsky-Korsakov Conductor: Kiril Kondrashin (March 6, 1914 – March 7, 1981) Performer: Oscar Shumsky (Violin: 1917 - 2000 America)) Orchestra: RCA Victor Symphony Orchestra Audio CD (January 4, 1999) Series: Living Stereo Number of Discs: 1 Format: Audio CD Country: US Recorded in: Stereo Spars Code: ADD Released: 1960 Format: Vinyl, LP, Album, Mono Label: RCA Victor Red Seal Copyright: (c) ℗ 1999, BMG Entertainment Total Length: 1:03:42 Genre: Classical, Music, Orchestral, Western Classical Music Style: Romantic Kondrashin came to the U.S. in 1958 to conduct concerts for Van Cliburn. While he was recording the Tchaikovsky First Piano Concerto with Cliburn, RCA also had him make these recordings (originally two LPs) with pickup musicians in New Yorks Manhattan Center. The nucleus of the orchestra was composed of members of the old NBC Symphony, and the ensemble plays splendidly, with violinist Oscar Shumsky earning his solo credit. Kondrashin leads spirited performances of these warhorses, mostly music so vulgar we should be ashamed of enjoying it as much as we do. RCAs famous "Living Stereo" sound has transferred splendidly to this CD, making it an exquisite, guilty pleasure.
![](https://t1.daumcdn.net/cfile/blog/2334794858C0BA3A10)
Capriccio Italien, for orchestra (or piano, 4 hands), Op. 45 (15:56) Common Name Capriccio Italien For Orchestra Or Piano 4 Hands Composer Pyotr Il'yich Tchaikovsky (1840 - 1893) Conductor Kirill Kondrashin Performer Oscar Shumsky (Violin) Orchestra RCA Victor Symphony Orchestra Genre Capriccio / Romantic Period Date Written 1880; Russia Period Romantic Country Italy Recording Date 10/29/1958 Venue Manhattan Center, New York, NY
이 곡은 차이코프스키의 수많은 관현악곡 중에서 가장 짜임새가 있는 매력적인 곡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은 대체로 러시아의 기후 풍토나 정치를 반영한 때문인지 어둡고 비애감이 넘치는 것이 많은데, 이 <이탈리아 기상곡>은 매우 밝고 유쾌한 음악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당시 차이코프스키가 결혼에 실패하고 마음의 상처와 피로에 지친 심신을 회복하기 위하여 스위스와 이탈리아로 요양을 떠난 일이 있는데, 그 때 남국 이탈리아 풍토에서 얻은 밝은 인상에 의해 작곡된 듯하다. 이를 뒷받침한 이야기로는 1886년(46세)의 2월 그가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 의하면 "나는 수일 전부터 민요의 선율을 토대로 한 <이탈리아 기상곡>의 스케치를 시작했읍니다. 이들 선율의 일부는 출판된 민요집에 의한 것도 있읍니다만, 거리를 거닐면서 직접 귀로 들은 것도 있읍니다." 라고 쓰고 있다. 본격적인 작곡은 귀국 후 이루어졌는데 그 해 12월 모스크바에서 초연되었다. 이 기상곡은 구성적인 면에서는 일정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남국의 뱃노래라든가 무곡, 민요 등을 엮어서 리듬이나 선율에 따라 배열해서 지방색이 풍부한 관현악곡으로 꾸미고 있습니다. 춥고 어두운 북국 사람들에게는 꿈과 같은 동경의 대상이 되는 상하의 나라 남부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풍경을 연상케하는 파노라마와 같은 음악입니다. 곡은 단일 악장으로 되어 있습니다마는 그 내용으로 보아 다섯가지로 구분됩니다.
![](http://my.catholic.or.kr/archives/upload/images/002186/u90120-22.jpg)
제1부 안단테 운 포코 루바토 가장조 6/8박자 - Andante un poco rubato A major 먼저 트럼펫의 찬연한 팡파르로 화려하게 곡이 시작됩니다. 이는 로마의 호텔에 묵고 있을 때 그 부근에 있던 이탈리아 왕실의 기병대의 나팔소리에서 힌트를 얻어 쓴 것입니다. 그 뒤를 이어 오보에, 클라리넷, 파곳, 호른 등이 등장하고 다음에 트럼본, 플루우트 등이 들어와 전관악기가 힘찬 팡파르를 울립니다. 이것이 일단락을 지으면 관이 셋잇단음표로 된 짧은 음형의 동기를 연주하면 이를 반주로 해서 콘트라베이스를 제외한 모든 현이 유려한 선율로 주제를 노래합니다. 이 주제부가 정점을 형성하면 점차 힘이 약해지고 독주 오보에가 이 선율을 이어 연주하고 플루우트가 약간 변화를 시켜가면서 노래해 갑니다. 점차 정감이 고조되어 전관현악이 정점을 형성합니다. 곡은 보다 자유로운 악상으로 전개해 가고 여기에 철금과 트라이앵글 하프와 큰북등 전관현악이 총동원해서 장대한 크라이맥스로 밀어올려 사람들을 흥분의 도가니로 밀어 넣은 다음 곡은 점차 약해지면서 사람의 마음을 충동시키는 곡 처음에 나왔던 셋잇단음표의 음형 동기가 반복되면서 조용해 지면 제 2부로 들어갑니다. 제2부 알레그로 모데라토 내림 라장조 4/4박자 - Allegro moderato Db major 제 1부의 끝에서 현이 연주한 셋잇단음표의 음형 리듬을 반대로 한 리듬에 유도되어 플루우트와 제 1바이올린이 선율을 노래하면 독주 호른이 유창하고 아름다운 선율을 시원스럽게 연주합니다. 이어 독주 코르넷과 트럼본이 부분적인 반복을 하면서 악상이 전개해갑니다. 탐브린과 하프가 쾌활하고 색체적인 합주를 하고 현과 호른이 짧은 대화를 하면서 일단락을 지으면 제 1부의 속도로 되 돌아가 셋잇단음표의 동기에 유도되어 제 1부의 주제가 다시 한번 등장합니다. 곡은 a단조로 바뀌어 곡은 제 3부로 이어집니다. 제3부 프레스토 가단조 6/8박자 - Presto A minor 활기 있는 부분입니다. 트라이앵글과 하프 탐브린과 큰북, 심벌즈도 가세하는 화려한 합주가 계속되다가 속도가 약간 늦추어지면 조를 바꾸어 제 4부로 이어집니다. 제4부 알레그로 모데라토 내림 나장조 3/4박자 - Allegro moderato Bb major 무도적인 음악으로 곡은 처음에 트럼펫과 탐브린으로 연주되는 자극적인 그 셋잇단음표의 음형으로 시작되어 하프가 들어오고 목관과 현이 힘찬 동음으로 전합주를 하게 됩니다. 금관과 타악기가 활기있는 무도의 리듬을 계속 연주한 후, 곡은 으뜸조로 다시 돌아가 마무리를 짖는 끝 부분으로 들어 갑니다. 제5부 프레스토 가장조 6/8박자 - Presto A major 전관현악이 갑자기 침묵을 지키면 약하게 연주하는 팀파니의 연타와 콘트라베이스의 지속음을 뒷받침으로 해서 독주 클라리넷이 사랑스러운 주제로 노래하고 현과 플루우트가 그 후반을 이어 연주합니다. 점차 다른 관악기도 합세해서 이 악상을 활발하게 전개해 가면 속도는 더욱 빨라져 모든 타악기가 등장하는 전관현악의 힘찬 총주로 총결부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곡이 끝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