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 David Oistrakh, violin | 音香 클래식

리차드 강 2017. 11. 10. 06:07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77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Johannes Brahms (1833 - 1897)

1악장 Allegro ma non troppo

David Oistrakh

     

1. Allegro ma non troppo

2. Adagio

3. Allegro giocoso ma non troppo vivace

현존하는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모두 3곡. 모두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보다 나중에 작곡된, 실내악의 걸작들이다. 1번 G장조 소나타는 일명 ‘비의 노래’로 불리는데, 이는 동명의 브람스 가곡을 주제로 쓴 3악장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실질적으로 이 노래의 리듬은 전악장을 지배한다. 2번 A장조 소나타에서도 브람스는 자신의 가곡 선율을 이용하는데, 단지 이번엔 하나가 아니라 여러 곡이 조금씩 비치는 정도다. 우울한 1번에 비해 2번은 부드럽고 다정하며, 3번 D단조 소나타는 보다 더 심각하고 내성적이다.

아름다운 선율의 피아노 음악으로 우리들의 사랑을 받는 브람스. 그는 피아노는 물론, 오페라를 제외한 많은 분야에 걸쳐 뛰어난 명작들을 남겼는데, 특이하게도 바이올린 협주곡은 오늘 제가 소개드리는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번호 77' 이 곡 하나 밖에 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한 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브람스의 최대걸작의 하나로 손꼽힐 뿐만 아니라. 고금을 통틀어서 베토벤멘델스존, 그리고 차이코프스키의 작품과 더불어 4대 바이올린 협주곡의 하나로 불리는 명곡입니다. 특히 더욱 흥미로운 일은 베토벤(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61)과 차이코프스키(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작품 35)도 브람스와 마찬가지로 평생 바이올린 협주곡은 하나밖에 작곡하지 않았다는 것이고 또한 이 세 개의 바이올린 명곡이 모두가 똑같이 'D장조'라는 것입니다.



고독과 우수의 음악가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그는 서양 음악사상 가장 위대한 극소수의 음악가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일찍이 로베르트 슈만이나 클라라가 '신이 보낸 사람'이라고 경탄했던 일이나, 한스 폰 뷜로우가 베토벤의 후계자로 지목하며 엄청난 찬사를 보냈던 일은, 오늘날 그가 서양 음악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나 그의 작품에 깃든 고결한 정신성을 생각하면, 결코 지나친 것이 아니었다.

3대 바이올린 협주곡 하면 베토벤 과 멘델스죤 그리고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포함하여 3 大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곡은 당대의 명 바이올린니스트 죠셉 요아킴(Joseph Joachim 1831-1907)에게 헌정된 곡이기도 하다. 브람스는 15세때 요아킴이 연주하는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듣고 온몸에 전류가 흐르는듯한 흥분과 감동을 느꼈다고 하는데 1853년 5월 ,브람스의 나이 20세때 아직 무명의 청년 작곡가였던 그가 연주여행에서 요아킴을 만나게 되면서 두사람의 우정이 시작 되었고, 또한 요아킴의 추천 및 소개로 슈만 부부에게 그 재능을 인정 받는 역사적인 만남도 이루어 졌다. 브람스의 피아노음악에 압도된 슈만은 "신음악 시보"에 "새로운길" 이라는 글을실었는데 이글로 인하여 전 독일 음악가들 사이에 브람스가 알려지게 되었고, 슈만과 브람스 사이의 숙명적인 사제 관계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그러한 길을 터준 요아킴에게 브람스는 평생 고마움을 잊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의 유명한 음악 평론가 한슬리크는" 브람스와 요아킴의 우정은 나무에 열매 맺은 잘익은 과일" 이라고 평 했듯이 두사람은 깊은 우정을 가진 사이였다.

흔히들 이곡을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이 아니라 "바이올린에 거역하는 협주곡"이라고도 하는데, 오케스트라의 반주가 당당하고 음향이 중후 하여 교향곡 처럼 작곡 되어 있는 점과, 독주부가 요아킴(Joseph Joachim 1831-1907)을 염두에두고 작곡한 만큼 9도나 10도 등의 큰 음정을 곧 잘 사용하고있어 손이 작은 연주가에게는 대단히 어려운 곡이기도 하다. 1879년 1월1일 라이프찌히의 게반트 하우스에서 요아킴의 찬란한 기교의 바이올린 독주와 브람스의 열의에 찬 지휘로 초연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악기편성

독주 바이올린,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4, 트럼펫 2, 팀파니, 현5부

제1악장 알레그로 논 트로포, 3/4박자

소나타 형식. 처음에 오케스트라에 의한 주제의 제시부가 있고, 그런 뒤에 독주 바이올린이 곁들여져서 독주 제시부가 따릅니다. 연주시간이 22분이 넘는 아주 긴 악장입니다.

 

▶ 연주 : Violin - Viktoria mullova
▶ 협연 : Berliner Philhamoniker
▶ 지휘 : CLAUDIO ABBADO

 

오케스트라에 의한 주제의 제시부가 있고, 그런 뒤에 독주 바이올린이 곁들여져서 독주 제시부가 따른다. 제1주제는 선이 굵고 견실하며 목가적 취향도 아울러 담겨져 있다. 독주 제시부에 이어서 오케스트라만의 연주가 따르고 곡은 전개부에 들어간다. 곧 독주 바이올린도 가담하여 제시부의 재료를 여러 각도로 처리한다. 오케스트라에서 다시 제1주제가 연주되면서 곡은 재현부로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독주 바이올린에 의한 화려한 기교로 카덴짜가 연주되고 이어 코다로써 맺어진다. 카덴짜는 요아힘이 만들었으며 지금도 그의 것이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다. 곡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1악장은 힘차고 정열적인 것이 특징이다. 9도에서 10도까지의 음점이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뛰어난 기교를 갖고 있지 않으면 연주하기에 매우 어렵다.

 

제2악장 아다지오, 2/4박자

David Oistrakh

현재 감상하고 계시는 음악이 바로 제2악장 아다지오 부분입니다. 3부 형식으로 되어 있고, 먼저 관악기군에 의해 조용하고 우아하게 시작되는데 그 가운데서 오보에 선율이 떠올라 아름답고도 애수가 깃든 연주가 이어집니다. 저도 처음에 이 곡을 들으면서 정말 이상하게 생각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바이올린 연주가 들어오는 부분이 너무 늦어서 고개를 갸웃거리던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유명한 사라사테는 이 부분에 대해 "이토록 아름다운 선율이 연주되는 긴 시간, 바이올린을 든 채 스테이지에 우두커니 서 있는 것은 참기 어렵다"고 털어놓은 적이 있다고 할 정도입니다. 이윽고 독주 바이올린이 이 선율을 장식하는데, 그 뒤 곡은 중후한 중간부에 들어가고 이어서 제1부를 자유롭게 재현시키는 제3부로 넘어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Allegro Giocoso ma non troppo Vivace

Neville Marriner, Cond

Academy of St. Martin-in-the-Fields

Hilary Hahn

 

제3악장 알레그로 지오코소, 마 논 트로포 비바체, 2/4박자

David Oistrakh

불규칙한 론도 형식. 집시 스타일의 색채감이 풍부하고 경쾌한 주제가 특징이며 끝부분은 터키 행진곡 스타일입니다.

이 악장의 악상기호는 원래 'allegro giocoso(빠르고 즐겁게)'뿐이었는데, 'non troppo vivace(너무 지나치게 빠르지 않도록)'를 곁들여 지시하지 않으면 연주하기 어렵지 않겠느냐는 요아힘의 충고를 받아들여 지금과 같은 지정이 되었다고 한다. 집시 스타일의 색채감이 풍부하고 경쾌한 주제가 강한 인상을 남긴다. 끝부분은 터키 행진곡 스타일이다.

재미있는 에피소드 하나를 덧붙인다. 이 협주곡이 완성된 수년 후, 당시 10세 될까말까한 후베르만이 이 곡을 연주 한 일이 있었다. 천재나 신동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브람스도 연주가 진행됨에 따라 끌려 들어가서 그도 모르게 자리에서 몸을 내밀고 경청했다. 연주가 끝나자마자 그는 악사 대기실로 달려가 연주 도중에 박수가 터져서 기분을 잡쳤다고 비관하는 이 소년을 끌어안고 키스를 퍼부으면서 이런 말로 위로했다. "그렇게 예쁘게 켜는 게 아니었어"라고.

 

브람스(Brahms) /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77은 그의 유일한 이 장르의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브람스의 최대 걸작의 하나로 손꼽힐 뿐만 아니라. 고금을 통틀어서 베토벤과 멘델스존의 협주곡과 더불어 가장 사랑받고 있는 역사적인 명곡이다.
악곡의 구조는 베토벤의 협주곡과 많은 점에서 닮아있다. 다른 작품들의 경우처럼 여기에서도 브람스는 고전주의적 형식미를 중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직접적으로 베토벤을 의식한 것으로 보아지며, 또한 조성이 베토벤과 같은 D장조라는 것과 전원적이고 목가적인 정서가 풍부한 것도 아주 유사하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작품은 제1악장 서두에 나오는 제1주제 의 견실한 맛이라든지, 그에 이어지는 중후하고 풍요로운 음악성은 다른 작곡가들에게서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브람스만의 개성으로 평가된다.

1878년에 작곡된 이 작품은 교향곡 제2번, '대학축전 서곡', '비극적 서곡'등을 잇달아 발표한 그의 전성기의 소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브람스는 주로 빈을 중심으로 활동했고, 여름에는 시타른베르거 호반의 별장에서 번거로운 세상사를 멀리하며 오로지 작곡에만 전념하는 생활을 했다.

1877년 9월에 브람스는 바덴바덴에서 당대의 명 바이올리니스트 사라사테의 연주를 들었다. 그리고 그 연주에서 얻은 감명이 바이올린 협주곡을 쓰게 된 직접 동기가 되었다. 작곡에 착수한 것은 이탈리아 여행에서 돌아와 피서를 겸해 투창에 머물던 1878년 7 월경이었다. 그리고 8월에는 4악장으로 되는 협주곡의 구상이 완료되었다. 8월 21일, 요아힘에게 제1악장의 독주 바이올린 파트를 보내어 그의 의견을 구했다. 요아힘에게서는 이런 회답이 왔다. "당신이 4악장의 협주곡을 쓰고 있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보내준 독주 파트는 면밀히 조사해서 몇 군데 수정해 봤습니다만, 전체 스코어를 보기 전에는 분명한 의견을 말할 수 坪?것 같습니다." 이로써 알 수 있듯이 브람스는 처음에는 교향곡처럼 4악장으로 구성할 작정이었던 모양이다. 그러나 11월에 브레슬라우에서 보낸 편지에서는 이렇게 쓰고 있다. "중간 의 2개 악장은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그렇게 하는 것이 좋았지요. 그 대신에 조용한 아다지오를 썼습니다."

이렇게 해서 협주곡은 처음에 예정했던 4악장 형식에서 전통적 3악장 형식이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삭제한 2개의 악장은 나중에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의 중간 악장에 전용되었다고도 하고, 이 바이올린 협주곡에 이어 스케치된 제2의 바이올린 협주곡에 쓸 예정이었다고도 한다.

브람스는 요아힘과 꾸준히 연락을 취하면서 바이올린 파트를 여러 가지로 수정했다. 기교에서 너무 어려운 대목에서 요아힘은 "나처럼 손이 큰 사람이 아니고서는 어려울 것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브람스는 요아힘의 충고를 그대로 채용하지는 않았고, 요아힘은 브람스의 그와 같은 태도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결국 요아힘은 브람스의 지나친 신중성에 안달을 하면서 이듬해인 1879년 1월 1일에 초연하기로 날짜를 스스로 정해 놓고, 그에 맞추어 작곡을 서둘러 줄 것을 거듭 브람스에게 독촉했다. 그리고 손수 카덴짜를 만들어 놓고 기다리고 있었다.

초연은 예정한 날짜에 라이프찌히 게반트하우스에서 있었는데, 요아힘이 독주를 맡고 브람스가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연습이 충분치는 않았지만 결과는 성공이었고 좋은 평도 받았다. 그 성공에 고무된 요아힘은 런던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이 작품을 연주했고 자기의 주된 레퍼토리로 삼았다.

벨기에 출신의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인 이자이도, 이 작품을 자기의 주곡목으로 채택해서 많이 연주했다. 그리고 요아힘의 제자들도 당시 15세였던 마리에 졸다트를 비롯하여 모두가 이 곡을 다투어 연주했다. 그렇게 해서 이 곡은 급속히 세계에 퍼졌다.

?관현악 부분을 피아노로 편곡한 악보는, 당시 프랑크푸르트 음악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클라라 슈만에게 보내어져서 그곳에서 클라라의 피아노와 요아힘의 수제자 후고 헤르만의 바이올린으로 연주되었다.

아름다운 이웃은 참마음 참이웃입니다.